[성철스님의 백일법문 103] 화엄종의 이사원융의 1967년 12월 27일 법문
Автор: 백련불교문화재단_성철사상연구원
Загружено: Дата премьеры: 11 июл.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392 просмотра
화엄의 볍계관을 말한 것으로 이사원융의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理)와 사(事)는 일체법의 본질과 현상을 나타내는 말인데 이(理)와 사(事)가 원융한 뜻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사구융문(里事俱融門)을 비롯하여 이법은현문(理法隱顯門). 사법존민문(事法存泯門). 사사상재문(事事相在門)등의 열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설하는 이사구융문(里事俱融門)은 그 중의 맨 처음인데 이와 사가 원융한 근거를 어디에 두고 있는가를 찾아 보면 이것 역시 쌍차하고 쌍조하는 중도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색과 공이 쌍차쌍조하여 원융무애해서 이렇게 해도 되고 저렇게 해도 되며 이렇게 안해도 되고 저렇게 안해도 되며, 건립한다고 파괴되는 것이 아니며 파괴한다고 건립되는 것이 아닙니다. 아무리 부정해도 긍정이 그대로 있으며 아무리 긍정해도 부정이 그대로 있어 긍정이 부정이고 부정이 긍정으로 쌍조가 쌍차이고 쌍차가 쌍조입니다. 원융무애한 원리에 입각해 사사무애 법계연기라든가 삼제원융이 성립되는 것입니다.
불교의 근본이 쌍차쌍조하는 중도의 원리에 두고 있는 만큼 불교에서 가장 발달되었다는 화엄십현이라든가 화엄무진연기도 중도를 떠나서는 조금도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화엄연기라는 것도 그 내용에 있어서는 중도 연기라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불교교리를 올바로 알려면 중도교리를 알아야 되고 근본적으로 깨치려면 중도를 깨쳐야만 하는 것입니다. 만약 중도를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그만 탈선하여 불교가 아니고 외도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증거를 제시하여 자꾸 중도 이야기를 하는 것입니다.
#성철스님 #백일법문 #이사원융의
[성철스님의 백일법문 103] 화엄종의 이사원융의 1967년 12월 27일 법문
백일법문 중권
제2장 화엄종의 중도사상
3. 법계삼관
(4)이사원융의 ..... 169
백련불교문화재단 http://sungchol.org/
성철선사상연구원 http://www.songchol.com/?skipintro=1
![[성철스님의 백일법문 103] 화엄종의 이사원융의 1967년 12월 27일 법문](https://ricktube.ru/thumbnail/VqRl7c8ASyc/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