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 강국의 꿈, 정부는 계획이 있습니다 -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Автор: 손에잡히는경제
Загружено: 2025-11-28
Просмотров: 663
#AI #인공지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박정호교수
[ai를 통해 요약한 내용입니다]
📝 요약 정리
이번 인터뷰는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과 현재 경쟁력을 짚은 내용이다.
류제명 차관은 한국이 미국·중국에 비해 뒤처져 있지만 메모리 반도체·제조 생태계·풀스택 구조 등 AI 인프라 기반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 GPU 26만 장 확보는 “돈 줘도 못 사는” 자원 경쟁 속에서 한국의 기술·산업 기반이 인정받은 사례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력·전송망·국산 AI 칩 개발 등 인프라 문제, 엔비디아 의존도, 인재 유출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했다. 또한 피지컬 AI(로봇+AI) 시대에는 제조 강국인 한국이 독보적 기회를 갖고 있으며, 정부는 월드모델·액션모델 등 차세대 AI 기반 확보를 위한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 타임코드
00:00~03:00 한국 AI 현주소 — 미국·중국 양강, 한국은 3위 그룹 / 목표는 ‘중국급 3위’
03:00~06:00 엔비디아 GPU 26만 장 확보 의미 — 한국 제조·반도체 경쟁력 + 전력·인프라 과제
06:00~09:00 엔비디아 의존도 우려 & 국산 AI 칩 전략 / 전력·송배전망 문제
09:00~14:00 피지컬 AI 시대 도래 — 한국 제조 데이터 강점 / 월드모델·액션모델 개발
14:00~23:30 인재 유출 문제, 국가대표 LLM 개발 구조, 글로벌 확산 전략(UN 스타게이트 등)
📌 핵심 요약
한국은 아직 미국·중국에 뒤지지만 제조·반도체 기반 덕에 AI 잠재력이 매우 큰 국가로 평가됨.
엔비디아 GPU 확보는 한국이 글로벌 AI 인프라 핵심 파트너임을 보여주는 사건.
피지컬 AI 시대에는 제조 데이터가 핵심 자원이며, 이는 한국의 결정적 강점.
정부는 월드모델·액션모델 개발, 국산 AI 칩 육성 등 기술주권 확보에 집중 중.
인재 유출 방지 위해 연구환경 개선·지표 접근성 확대 정책도 추진 중.
💡 한줄 핵심
“제조·반도체 강국 한국, 피지컬 AI 시대의 핵심 플레이어가 될 조건을 이미 갖췄다.”
◈ 방송시간
유튜브: 매일 오전 10시 30분 ~ 11시 20분
라디오: MBC 표준FM 매일 저녁 10시 5분 ~ 11시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