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공연[2014.12.12.]
Автор: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Загружено: 20 мар. 2015 г.
Просмотров: 22 143 просмотра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올리는 사직대제(社稷大祭)는 역대 왕들의 제사인 종묘제례(宗廟祭禮)와 함께 조선시대 가장 중요한 국가제례 중 하나였습니다.
이번 공연은 정조대왕 대에 만들어진 '사직서의궤'(1783)를 바탕으로,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이 고증하여 무대에 올린 것입니다.
절차
1) 영신迎神 - 신을 맞이하는 의식
· 악명: 순안지악順安之樂(임종궁‧유빈궁‧응종궁‧유빈궁)
· 일무: 열문지무烈文之舞
2) 전폐奠幣 - 신에게 폐백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숙안지악肅安之樂(응종궁)
· 일무: 열문지무烈文之舞
3) 진찬進饌 - 신을 위한 제수(祭需)를 올리는 의식
· 악명: 옹안지악雍安之樂(태주궁)
· 일무: 없음
4) 초헌初獻 - 신에게 첫 번째 술잔과 축문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수안지악壽安之樂(응종궁)
· 일무: 열문지무烈文之舞
· 악명서안지악舒安之樂 태주궁
· 일무: 교체
5) 아헌亞獻 - 신에게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수안지악壽安之樂(태주궁)
· 일무: 소무지무昭武之武
6) 종헌終獻 - 신에게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수안지악壽安之樂(태주궁)
· 일무: 소무지무昭武之武
7) 음복飮福 - 초헌관이 복주(福酒)를 마시는 의식
· 악명: 없음
· 일무: 없음
8) 철변두徹籩豆 - 제사에 쓰인 제물을 거두어 들이는 의식
· 악명: 옹안지악雍安之樂(응종궁)
· 일무: 없음
9) 송신送神 - 신을 보내는 의식
· 악명: 순안지악順安之樂(송임종궁)
· 일무: 없음
10) 망료望燎 - 제사에 쓰인 축문과 폐백을 태우는 의식
· 악명: 없음
· 일무: 없음
인물정보
○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제례/사직대제 보존회, 일무/일무보존회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공연[2014.12.12.]](https://ricktube.ru/thumbnail/YceQecRds0g/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