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520 / 백호 윤휴 선생 제343주기 추모제 / 백호 윤휴 묘정 / 대전산성마을신문 / 백호윤휴선생추모제추진위원회 / 대전 중구 사정동 201-1 /
Автор: 최창희 산중(山中)
Загружено: 22 мая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184 просмотра
백호 윤휴(白湖 尹鑴) (1617 ~ 1680)
17세기 조선시대 산림학자, 실천적 경세가, 개혁적 사상가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초명은 윤갱(尹鍞). 자는 희중(希仲), 호는 백호(白湖)·하헌(夏軒)이다, 이조참판 윤호(尹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윤희손(尹喜孫)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윤효전(尹孝全)이며, 어머니는 첨지중추부사 김덕민(金德民)의 딸이다.
생애
1617년 (1세) / 광해군 9년 경주부윤 윤효전과 첨지중추부사 김덕민의 딸 사이에 경주 출생
1619년 (3세) / 부친 윤효전(충청도관찰사, 경주부윤 역임) 사망
1620년 (4세) / 서울 쌍계동, 경기도 여주로 옮겨가며 성장
1623년 (7세) / 인조 반정 이후 충북 보은으로 낙향
1635년 (19세) / 안동권씨 권첩의 딸과 결혼, 우암 송시열과 속리산 복천사에서 만남
1636년 (20세) / 벼슬에 나갈 뜻으로 만언소(萬言疏) 지었으나, 병자호란이 일어나 신하로서
부끄러움을 자책해 치욕을 씻을 때까지 벼슬에 나가지 않겠다고 결심
병자호란을 겪으며 학문에 정진, 사류들과 교유 활발
1638년 (22세) / 어머니를 모시고 선대가 살던 공주 유천으로 이주, 학문에 정진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이유태(李惟泰)·유계(兪啓)·권시(權諰)
윤문거(尹文擧)·윤선거(尹宣擧) 등 서인 계열의 명유들과 교분을 나눔
20대 유천 시절에 「홍범설(洪範說)」·「주례설(周禮說)」·「중용설(中庸說)」 등을 저술
1644년 (28세) / 경기 여주 금사면 백호에 거주
1674년 (58세) / 중국 오삼계에 의한 반란 발생. 대의소(大義疏) 지음
1675년 (59세) / 성균관사업(成均館司業)의 직을 시작하여 이후 5개월 만에 대사헌, 판서 역임
1679년 (63세) / 우찬성 역임(숙종 5년)
1680년 5월 20일 (64세) / 경신환국 정변으로 사사
1907년 / 여러차례 추탈과 복직이 반복된 이후 복권
업적
북벌 : 도체찰사부 설치, 무과인 만인과 설행, 병거와 화차의 개발 고안 및 보급 노력
신분제 완화 : 호폐제 개선(지폐법), 오가통법, 통도, 노비제 개혁 등 신분제 해체 내지 완화
양극화 해소 : 호포법 사대부 과세 추진
저술
1638년 「사단칠정인심도심설(四端七情人心道心說)」을 지음. 이기(理氣)·심성(心性)의 문제에 대해 일가견을 가짐.
그 뒤 『중용』·『대학』·『효경』·『상서』·『주례』·『예기』·『춘추』 등 여러 경서들에 대한 자신의 분장(分章)·분구(分句)·해석을 가한 『독서기(讀書記)』라는 저술을 남겼다. 이 저술은 20대 유천 시절에 「홍범설(洪範說)」·「주례설(周禮說)」·「중용설(中庸說)」 등에서부터 시작해, 서울 하헌 시절에 「효경장구고이(孝經章句攷異)」·「대학설(大學說)」·「중용장구보록서(中庸章句補錄序)」·「중용대학후설(中庸大學後說)」 등을 지어 마무리한 일생의 역저로서, 조선의 유학사상으로도 매우 중요시되는 업적임
출간
일생의 역저들은 당시 정치적인 상황으로 햇빛을 보지 못함
1927년 진주 용강서당에서 백호문집 석판본 간행
1974년 직계손 윤용진에 의해 비전의 원고들을 총망라한 백호전서 출판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