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상승…주력 제조업 ‘충격파’ / KBS 2022.08.02.
Автор: KBS대전 뉴스
Загружено: 2 авг.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368 просмотров
[리포트]
지난주 배럴당 105달러를 기록한 중동 두바이유, 조금 내렸다고는 하지만 1년 전보다는 32달러, 2년 전보다는 62달러 비쌉니다.
이 때문에 원유와 석탄, 나프타를 수입해 쓰는 충청권 석탄석유화학 업체들은 지난해 초에 비해 생산비용이 78% 급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더구나 비용이 상승한 만큼 제품가격을 올리는 것도 여의치 않아, 기업들의 고민이 큽니다.
[이성희/대산 석유화학업체 관계자 : "제품값을 석유화학(업체) 같은 경우는 많이 올려받을 수 없는 상황이었던 거죠. 하반기(업황)도 안 좋게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긴 해요."]
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 비철금속이 쓰이는 금속제품도 생산비용이 32% 상승해 철강과 자동차 업종의 채산성을 억누르고 있습니다.
곡물가격 폭등에 따른 농림수산품 생산비용 상승분은 5.5%, 음식료품은 7.2%로 한국은행은 추산했습니다.
이로 인해 가정뿐 아니라 음식점 생산비용이 5.2% 올라, 업소와 고객 모두 비용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다만,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 업종의 생산비용 상승 폭은 4.5%에 그쳐, 업종 간,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종원/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과장 : "경기 침체가 심화될 경우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 중소기업의 채산성 악화로 인한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는 정책금리 인상에 의한 금융비용 상승까지 고려하면 기업 고충이 더 클 것이라며, 정부가 대대적으로 기업 지원 정책을 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