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⑥ “잠재된 위기”…빈곤의 늪에서 일상 회복은? / KBS 2022.04.22.
Автор: KBS 뉴스 부산
Загружено: 22 апр.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117 просмотров
[앵커]
KBS는 연속 보도로 코로나19 이후 급성 빈곤에 빠진 가구의 실태를 추적했습니다.
복지 전문가들은 이런 위기 가구의 일상 회복이 더딜 거라고 우려하는데요.
위기 가구의 추락을 막기 위한 대책을 짚어봤습니다.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구청 행정복지센터 직원들이 주택가 골목을 돌며, 복지 제도의 혜택을 못 받는 위기 가구가 있는지 살핍니다.
손에 든 건 주민 여론조사 등을 토대로 만든 복지 사각지대 지도입니다.
경제적 위기에 빠진 가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지역을 세 등급으로 나눠 예측했습니다.
[정희웅/부산 연제구 연산9동 복지사무장 : "인력에 한계가 있다보니까 아무래도 A 등급에서 좀 더 우선 순위를 두고 가정 방문을 먼저 하고, B등급, C등급 이렇게 순차적으로 가정 방문을 합니다."]
이렇게 구청에서 긴급 복지 대상자로 발굴한 위기 가구.
80대 할아버지가 몸이 불편한 할머니를 보살피며 삽니다.
연금 등이 수입으로 잡혀 기초생활보장 제도로는 생계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요양에 든 비용이 계속 불어나 수입으로 빚을 갚는 것도 부족합니다.
[8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카드사에 이자와 사채 이자가 한 달에 백만 원 넘게 빠져나가니까 생활이 안 되고, 남에게 신세 지는 것도 너무 미안하고…."]
이처럼 드러나지 않은 위기 가구를 발굴하는 노력과 함께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체계도 필요합니다.
[윤성호/동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위기가 상존하고 있다고 가정을 해야 합니다. 상존하고 있는 이 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제소 같은 협치 기구가 꼭 필요하죠."]
특히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가구는 긴급 복지를 받더라도 빈곤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합니다.
[긴급 복지 대상자 : "지금도 많이 힘들고, 빚으로 사는 거죠. 이것(방문 판매업)만 갖고는 생활이 안 되니까 다른 일(아르바이트)도 같이…."]
이 때문에 한시적 지원금뿐 아니라 안정적인 일자리 등 회복을 돕는 사업과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두례/부산복지개발원 정책기획실장 : "40대와 50대, 계속적으로 일을 할 수 있음에도 위기 가구로 떨어지는 이런 것을 면밀히 분석해서 다른 식으로 맞춤형으로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위기가 불평등을 키운 건 아닌지 되돌아봐야 할 때입니다.
복지 사각지대에서 힘겹게 일상으로 돌아가야 할 수많은 위기 가구에 손을 내밀어야 한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이기 때문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위기가구]⑥ “잠재된 위기”…빈곤의 늪에서 일상 회복은? / KBS 2022.04.22.](https://ricktube.ru/thumbnail/__bj7rxTAw0/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