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겐 왜 동해와 접한 땅이 없을까?|만약 중국이 동해와 접했다면 일어났을 일!
Автор: 별별역사
Загружено: 2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593 566 просмотров
참고문헌
[KCI등재 논문]
-심헌용. (2008). 러일전쟁기 러시아의 동아시아 해양군사전략과 독도의 위상. 국가전략, 14(2), 169-202.
-이영형. (2013). 중국과 러시아의 북한 북동부 진출과 동해의 지정학적 의미. 아태연구, 20(3), 35-67.
-황성칠. (2014). 북한 급변사태 시 중국의 군사력 개입에 관한 연구: 정당전쟁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군사학논총, 3(2), 3-32.
-김영식. (2016). 남· 북· 중· 러 물류운송의 성공을 위한 시사점: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자유무역항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37), 423-447.
-배규성. (2018). 환동해 국제관계의 역사와 지정학적 맥락. 독도연구, (24), 163-197.
-박영민. (2018). 중국의 해양 정책과 북극 전략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26(3), 69-87.
-문익준. (2023). 중국 일대일로 정책의 10 년 평가와 전망: 동북 3성을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1(21), 61-101.
-김부용. (2024). 중국 일대일로의 동진정책과 한국에의 시사점: 동북 3 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25(1), 39-66.
-徐尙珉. (2024). 중국 동북지방의 ‘신지정학’: 미· 중 전략경쟁과 지방의 전략적 지위 변화. 현대중국연구, 26(1), 265-297.
[해외논문&자료]
-Iwashita, A. (2004). A 4,000 kilometer journey along the Sino-Russian border. Slavic research center, Hokkaido univ..
-Schindler, S., & DiCarlo, J. (2022). Towards a critical geopolitics of China–US rivalry: Pericentricity, regional conflicts and transnational connections. Area, 54(4), 638-645.
-Jang, H., & Thomas, K. A. (2024). The geopolitics of whaling and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Territory, Politics, Governance, 12(1), 50-71.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