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eonggi-A578]
Автор: 생물관찰-WhyTV
Загружено: 8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 367 просмотров
민하루살이 : 알락하루살이과에 속하는 수서곤충
학명 : Cincticostella levanidovae Tshernova
250404 에 양수연 생물덕후랑 같이 채집 탐구한 하루살이 영상이다. 이날 3종류의 하루살이 유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무늬하루살이, 민하루살이, 햇님하루살이로 동정했다. 동정은 안동하 박사님이 도와주셨다. 감사드립니다. 하루살이는 물 밖에서는 보통 짝짓기를 하고 바로 죽기 때문에 물속 유충의 시기가 한살이의 대부분이다. 그러나 5월에는 집단으로 우화하기 때문에 성충을 관찰하기는 쉽다. 한강변의 동양하루살이 출현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하루살이 탐구에서 제일 흥미로운 것은 '성충은 입이나 소화기관이 왜 없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다. 이 의문도 바로 제기하지 않고 성충을 자세히 관찰해서 입이 없다는 사실을 찾아내도록 하면 사고력이 더 촉진된다. 이 영상도 마찬가지이다. 필요한 경우 정지 화면을 이용해서 자세히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냥 한번 쓱 보는 것으로는 과학적 사고 훈련이 어렵다. 그래도 안 보는 것 보다는 낫겠지만요~~
물속에서는 하루살이 유충의 아가미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 좋다. 왜 이렇게 움직이는지? 왜 수질오면 지표종이 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통찰을 찾을 수 있다.
일반인들은 작은 날벌레들을 보통 하루살이로 부르기도 한다. 하루살이는 시, 소설 등 문학적 내용에 ‘덧없는 짧은 인생’ 등을 표현할 때 자주 언급되는 생물이다. 어류의 좋은 먹이가 되기 때문에 낚시를 하는 사람들은 하루살이의 형태를 모방한 미끼를 만들어 이용하기도 한다.
------------------------------------------------------------------
A. 형태
몸길이는 10mm 정도이며,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을 띠나 서식환경에 따른 변이가 있다. 앞가슴 앞가장자리는 앞쪽으로 돌출되었다. 앞가슴 및 가운데가슴은 양 옆으로 돌출되고, 그 폭은 머리 폭보다 크다. 제2~9배마디에 중앙을 따라 날카로운 등가시가 1쌍 있다. 기관아가미는 나뭇잎 모양이다. 각 배마디에 세로 줄이 4개씩 있고, 그 중 가운데 2개는 등가시를 따라 배열되었다. 꼬리길이는 몸길이 정도이며, 각 꼬리마디 끝에 짧은 강모가 윤생한다.
B. 동정 포인트
앞가슴 폭, 배 윗면 무늬, 등가시
C. 생태
계류 및 평지하천에 서식한다. 발달된 발톱을 이용해 유속이 빠른 여울을 잘 기어 다닌다. 돌에 붙어 있는 부착조류나 바닥에 퇴적된 유기물을 먹는다.
D. 분포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주요 서식지는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도곡리 창봉천,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원서천,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황죽리 수어천 등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민하루살이 (물속 생물 도감, 2013. 6. 25., 권순직, 전영철, 박재흥)에서 인용.
----------------------------------------------------------------------
[Gyeonggi-A578]#수서곤충 ⑥ #민하루살이 #수중생태계 #불완전탈바꿈 #지표종 #생물다양성 #생물관찰 #생태전환교육 #백운사 #의왕 #insects #biodiversity #하루살이 #영상도감 #생태교육 #생태전환교육 #mayfly #갑옷 #자연의벗 #주변생물
![[Gyeonggi-A578]](https://ricktube.ru/thumbnail/aObuhRhawj0/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