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할증"은 어떻게 되는거?
Автор: 너도 운전
Загружено: 20 сент.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76 985 просмотров
안녕하세요. 너도 운전 입니다.
오늘은 교통사고 시,
자동차 보험료 상승 원인을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보험사에 연락을 해서 보험 접수를 합니다.
여기서부터, 보험료 상승의 1가지의 조건이 깨집니다.
바로 3년 무사고 할인이 깨집니다.
보험 접수를 하는 순간 ! 무사고가 아니니까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내가 100만원을 내고 있다면,
다음 보험료는 110만원 입니다.
(평균 12% ~ 15% ) = 3년 무사고 할인이 깨지고
2번째로, 사고가 발생하면 대물접수는 기본으로 들어갑니다.
대물접수는 보상한도 (평균적으로 200만원) 초과 시,
1점이 부여 됩니다.
200만원 미만이면 0.5 점 입니다.
그리고 대인접수가 들어간다면,
기본적으로 14급이 측정되기 때문에,
최소 1점이 잡힙니다.
여기서 말하는 1점은 (보험사 등급 A-Z) 의
1등급이 낮아진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사고가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3년 무사고 할인이 해제되고
대물접수가 되면서 0.5 점 ~ 1점이 누적되고,
대인접수까지 한다면 최소 1점이 추가 되어서
보험료는 25% 이상 상승이 됩니다. 여기서 끝나냐구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현재 원래 내던 보험료는 100만원에서 =
25%상승 = 125 만원 까지 올라간 상태 입니다.
이것은 보험료는 100으로 잡았을 때고,
기존에 내던 보험료가 200만원 이라면?
=현재 250만원 까지 올라간 상태 입니다.
2편에서 계속 됩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