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법사와 신라 선덕여왕의 아들, 원측의 탑이 있는 중국 당나라 장안의 흥교사 탑Xingjiaosi Pagodas
Автор: 큐레이터쉼 curatorS
Загружено: 15 янв.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14 просмотров
00:00:06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의 경로 네트워크 세계유산 등재신청서를 중심으로 제작한 영상입니다.
00:00:12 (1) 흥교사 탑의 개요
00:00:13 흥교사탑은 불교 전파 역사상 가장 저명한 인물인 현장과 그의 제자들의 사리를 보존하고 있습니다.
00:00:19 이 탑은 실크로드를 통해 장안에 불교가 도착한 후 불교의 발전과 한반도에 미친 영향을 보여줍니다.
00:00:24 3개의 흥교사탑에는 유식종(唯識宗)의 3대 조사(祖師)가 묻혀 있습니다.
00:00:28 세 탑 중 현장탑은 중앙에, 그의 제자들의 탑은 양쪽에 위치하여 명확한 위계를 보여줍니다.
00:00:33 흥교사의 세 탑 중 현장탑과 규기탑은 당나라 시대의 유일하게 현존하는 정사각형 누각식 탑으로, 인도 불교 무덤 건축인 "스투파"가 중국 중부로 전파되고 중국에서 더욱 현지화된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00:00:46 흥교사탑은 시안시 장안구의 작은 마을인 두곡(杜曲)의 흥교사에 있으며, 소릉원(少陵原)의 가장자리에 위치합니다. 흥교사의 서쪽 마당은 "자은탑원(慈恩塔院)"이라고 불리며, 현장탑(1), 규기탑(2), 원측탑(3)이 삼각형 모양으로 "品"자 모양을 이루고 있습니다.
00:01:01 (2) 현장탑(玄奘塔): 현장탑은 당나라 시대인 669년에 건립되었습니다. 5층 밀첨식 전탑으로 남쪽을 향하고 있으며, 높이 21m, 1층 변의 길이는 5.2m입니다. 밀첨식 탑은 지붕이 탑신에 촘촘히 붙어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북쪽 벽면 아래에는 현장의 탄생, 출가, 구족계, 불경 구도 여정, 번역 작업에 대한 비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 비문은 839년에 제작된 것입니다.
00:01:25 현장탑의 단면도와 측면도
00:01:27 현장 (600 혹은 602년~ 664년):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뛰어난 번역가이며 여행가입니다. 출가 전의 이름은 진의(陳禕)였으며, 낙주(洛州) 구시(缑氏) 출신입니다.
00:01:37 그는 불경을 구하기 위해 10년 이상 2만 5천km가 넘는 거리를 육로로 여행하는 험난하고 중요한 여정을 떠났습니다. 중국으로 돌아온 후, 그는 가져온 불경을 번역하고 불교를 전파하며 인도의 인명(因明)을 소개하여 중국, 일본, 한국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00:01:51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는 그의 제자인 변기(辯機)가 현장의 서역 여정에 대한 이야기를 기록하여 편찬되었습니다. 이 책은 높은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현대 학자들은 여전히 중앙아시아와 인도에서 고고학적 발굴을 수행할 때 그 정확성 때문에 이 책을 지침으로 참고합니다.
00:02:08 따라서 어떤 사람들은 그의 책을 아테네 고고학에 관한 파우사니아스(Pausanias)의 책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한 가지 예로, 1861년 이후 인도 식민 정부의 초대 고고학 장관인 알렉산더 커닝햄(Alexander Cunningham)은 인도에서 불교 고고학 연구를 수행할 때 현장의 기록을 참고했습니다.
00:02:23 (3) 규기탑(窺基塔): 규기탑은 밀첨식 3층 전탑으로 682년에 건립되었습니다. 북쪽에 위치하고 남쪽을 향하고 있으며, 벽돌로 만들어진 3층 정사각형 누각식 건물입니다. 높이 6.76m, 1층 변의 길이는 2.4m이며, 남북 벽면에 비문이 있습니다.
00:02:39 규기는 당나라의 승려로, 현장법사의 제자 중 가장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현장법사와 함께 불경 번역에 참여했으며, 유식학(唯識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많은 저술을 남겼습니다. 규기는 중국 불교, 특히 법상종(法相宗)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00:02:55 (4) 원측탑: 높이 7.1m의 원측탑은 송나라 1115년에 건립되었으며 규기탑과 같은 모양입니다. 3층의 밀첨식 전탑으로 1층 북쪽 벽면에는 고승 원측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탑을 건립했다는 비문이 있고, 2층에는 "측사탑명(測師塔銘)"이라는 비문이 있습니다.
00:03:11 현장의 제자인 원측은 신라 왕의 후손이자 불교 유식종의 유명한 스승이었습니다. 그의 탑과 비문은 중국 중부에서 불교의 발전과 한반도에 미친 영향을 보여줍니다.
00:03:21 원측 (613년~ 696년): 현장의 유명한 제자입니다. 출가 전의 이름은 문아(文雅)였습니다. 선덕여왕과 김용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세 살 때 출가했습니다. 그는 당나라 초기에 중국으로 와서 645년에 현장의 제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현장을 도와 불경을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으며, 불교 유식종을 발전시켰습니다. 원측의 제자 중 많은 사람들이 신라 사람들이었고, 나중에 한반도로 돌아갔습니다. 따라서 그의 가르침은 한반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