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장애 '파킨슨병'…유도만능줄기세포로 극복한다 / YTN 사이언스
Автор: YTN 사이언스
Загружено: 27 сент. 2018 г.
Просмотров: 26 787 просмотров
[앵커]
바이오 분야 핫이슈와 트렌드를 알아보는 '카페 B' 코너입니다.
사이언스 투데이 바이오 길라잡이, 이성규 기자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어떤 주제를 준비했나요?
[기자]
추석 연휴, 잘들 보냈는지요? 모처럼 친척들도 만나고, 다들 바빴을 것 같아요.
간만에 친척들이 모이면 이런 저런 얘기를 하기 마련이잖아요. 예전에는 정치 얘기가 주를 이뤘는데요. 요즘은 건강에 대한 얘기가 부쩍 많아진 것 같아요.
[앵커]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아무래도 주요 관심이 건강하게 노후를 보내는 거잖아요.
주위에 누구네 집에는 치매 환자가 있네, 없네, 이런 얘기가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 같아요.
[기자]
치매는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신경세포가 파괴돼 발생하는 일종의 퇴행성 뇌 질환이죠.
퇴행성 뇌 질환에는 치매 외에도 파킨슨병이 있죠.
[앵커]
파킨슨병은 손이나 발이 떨리고 몸이 꾸부정해 잘 못 걷는 그 질병을 말하는 거죠?
[기자]
쉽게 말해 운동 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이다, 이렇게 이해할 수 있는데요.
이 병의 증상을 처음 발견한 의사의 이름이 파킨슨이어서, 병의 명칭을 파킨슨병이라고 명명했죠.
우리말로는 파킨슨병, 영어로는 줄여서 'PD'라고도 부릅니다.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쏜다'는 명언을 남긴 전설의 복서, 무하마드 알리가 이 병으로 30여 년간 투쟁하다 끝내 숨을 거뒀죠.
[앵커]
백 투 더 퓨처의 마이클 제이 폭스도 이병을 앓았는데요.
치매는 기억 세포가 파괴돼 발생하는 질병이잖아요.
파킨슨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기자]
파킨슨병도 신경세포에 문제가 발생해 일어난다는 점에서는 치매와 같아요.
그런데 병을 일으키는 신경세포가 서로 다른데요.
파킨슨병은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소실되면 발병하기 시작합니다.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가 한 번에 없어지는 게 아니라, 점진적으로 진행돼 50~60%가량 소실되면 병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앵커]
방금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라고 말했는데요.
다소 어려운 것 같은데, 도파민은 무엇이고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는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요?
[기자]
도파민은 신경전달물질의 하나인데요.
신경전달물질이란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물질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뇌의 신경세포를 인접해있는 신경세포로 수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요.
이런 과정을 통해 기억이나 인지, 운동명령과 같은 뇌의 기능을 수행해요.
이 도파민을 만들어내는 신경세포를 도파민 신경세포라고 부릅니다.
[앵커]
네, 그렇군요. 얘기를 듣고 보니깐, 파킨슨병은 도파민과 떼어 놓고는 얘기할 수 없을 것 같은데요.
도파민이 원래 어떤 역할을 하는 건지요?
[기자]
앞서 설명했듯이, 도파민은 신경전달물질 가운데 하나고요.
도파민이 파킨슨병과도 관련이 있지만, 기분이나 인지, 감정 등 다양한 뇌 기능에 관여합니다.
뇌에서 도파민의 양이 부족하면 우울증에 걸리기도 하고요. 이 우울증이 지속하면 조현병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앵커]
그러니깐 도파민이라는 물질은 우리 뇌에서 굉장히 중요한 일을 한다, 이렇게 이해할 수 있군요.
파킨슨병이 도파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 파킨슨병 치료도 도파민과 연관이 있는 건가요?
[기자]
파킨슨병이 도파민을 생산하는 신경세포가 파괴돼 발병한다고 했잖아요.
그래서 얼핏 생각해보면 도파민을 뇌에 공급해주면 될 것 같은데, 이게 쉽지 않아요.
우리 뇌에는 혈액 뇌 장벽(blood brain barrier)이라는 일종의 뇌를 보호하는 ...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