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 철근의 정착 및 이음, 건축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실기,건축기사 실기,건축설계
Автор: 건축용어,건축기사(산업)실기,필기
Загружено: 19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 031 просмотр
건축산업기사필기
건축구조 철근의 정착 및 이음
문제 ) 철근의 이음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용접이음은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fy의 125% 이상을
발휘할 수 있는
완전용접이여야 한다
2, 인장 이형철근의
이음은 A급, B급으로 분류하며
어떤 경우라도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3, 압축 이형철근의
이음을 제외하고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할 수 있다
4, 휨부재에서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게
겹침이음된 철근은
횡방향으로 소요
겹침이음길이의
1/3 또는 200mm 중
작은 값 이상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정답 : 1번
인장 이형철근의
이음은 A급, B급으로 분류하며
어떤 경우라도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할 수 없다,
휨부재에서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게 겹침이음된
철근은 횡방향으로 소요
겹침이음길이의 1/5 또는
150mm 중
작은 값 이상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문제 )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설계에서 철근의
부착력에 영항을
주지 않는 것은?
1, 콘크리트 피복두께
2, 콘크리트 압축강도
3, 철근의 외부표면 돌기
4, 철근의 항복강도
정답 : 4번
철근의 항복강도는
철근의 부착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문제 ) 철근의 부착과 정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이 콘크리트 속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것을 정착이라 한다
2, 철근의 정착길이는
철근의 직경에 비례하며
철근의 강도에 반비례한다
3, 휨응력의 전달 시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경계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을 부착응력이라 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부착력은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질 수록 증가한다
정답 : 2번
철근의 정착길이는
철근의 직경과 철근의
항복강도에 비례하며,
콘크리트 강도에는
반비례한다
건축기사(산업) 실기 ,필기 외울것 반복적으로 보고 외워요
생소한 건축용어 같이 알아봅시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