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오감도 해석 (전문)
Автор: 별의 한국문학
Загружено: 24 июн.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9 072 просмотра
안녕하세요, 한국 문학을 소개하는 '예쁜 점'입니다.
[참고문헌]
김동근(2001). ‘오감도’ 의 작시 논리와 텍스트 의미. 현대문학이론연구, 15, pp.31-49.
김봉근(2016). 이상의 ‘시제일호’의 새로운 해석: 공포의 확장인가 무화(無化)인가?. 한국시학연구, 46, pp.91-136.
김승희(2010). 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성의 파놉티콘’과 아이러니, 멜랑콜리. 비교한국학, 18(2), pp.7-31.
도윤정(2019). 이상(李箱) 시의 페이지 공간 분석을 위한 시론. 비교한국학, 27(1), pp.51-87.
이고은, 김준교(2012). 이상 시에 나타난 불안, 공포 이미지의 표현주의적 성격 -오감도 ‘시 제1호’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7, pp.75-83.
이병철(2021). ‘오감도(烏瞰圖)-시제1호(詩第一號)’에 나타난 회화성 연구 -시어 ‘그리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74, pp.165-183.
장철환(2015). 이상 글쓰기의 방법적 원리로서 ‘대칭성’ 연구. 한국문학연구, 39, pp.193-221.
전동진(2010). 이상 시의 탈근대적 시선 연구. 비교한국학, 18(2), pp.33-61.
전동진(2021). 포스트바디 상상력과 몸의 위상성 ―이상의 ‘오감도’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65, pp.227-263.
[자료 출처]
1. 이상 사진 : 동아일보(2012. 04. 11). 18세의 李箱은 어땠을까… 저고리 - 치마 입고 ‘코믹 졸업사진’.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
2. ‘오감도’ 사진 :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골목길 : 제주특별자치도청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