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yeol Ju(주시열) - Contemplation II for percussion, dance, performers, live electronics, and media art
Автор: SIYEOL JU
Загружено: 2025-11-22
Просмотров: 55
performed on September 25, 2025,
at Platform L, Platform Live in Seoul, Korea.
composed by Siyeol Ju
media art created by Minjung Lee
percussion by Jayden Seon
contemporary dance by Minseon Choi
performers: Dongbin Kim, Jaeyun Lee, Eun Cho
“二季 Igae: The Time of the Vanished Seasons”
-
It fascinates me to see people who can truly enjoy being alone.
I am too easily frightened, too sensitive to the slightest noises and movements around me to do the same. In fact, contemplation should begin with such an act — yet it feels almost impossible.
It hasn’t been long since I first encountered the concept of contemplation.
At someone’s suggestion, I reluctantly began reading books on aesthetics and philosophy, and before I knew it, I found the idea so intriguing that it even made its way into the title of my piece.
Can music embody contemplation?
In a finite span of time, observing something from a finite point of view already suggests a certain common ground with contemplation.
Yet if there is even the slightest trace of change — and if that change is the residue of centuries of tradition built upon development, transformation, and variation — then true contemplation seems nearly impossible.
People are more accustomed to such flow and movement.
So sometimes, I feel compelled to draw out from within myself a kind of music that is completely still. Several genres come to mind.
But in live performance, as long as vibration exists, there will always be movement.
Then, does stillness truly exist at all?
Even Salvatore Sciarrino, who incorporated silence as a compositional technique, never reached a state of complete silence.
In order not to fall into the same failure again, I decided to take a more self-justifying approach — to take one step closer to contemplation.
Human perception, after all, recognizes and distinguishes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simultaneously. Thus, contemplation is not about gazing at a single object in isolation,
but rather about discovering the inner artistic essence that arises within oneself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things.
홀로 있는 것을 즐기는 사람을 보면 신기하다.
나는 겁도 많고, 주변의 잡음과 미세한 움직임이 너무 신경 쓰여 그러질 못한다.
사실 ‘관조’란 이러한 행위부터 시작해야 하는데 말이다. 좀처럼 어려운 일이다.
‘관조’라는 개념을 접하게 된 건 얼마 되지 않았다. 상대방의 권유에 못 이겨 미학과 철학에 관한 책을 읽게 되었는데,
보다시피 상당히 흥미로워 곡의 제목에까지 삽입할 지경에 이르렀다.
음악은 관조가 가능할까.
유한한 시간 속에서 유한한 시선으로 어떠한 점을 바라보는 것은 어느 정도 공통분모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변화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리고 그것이 발전, 변용, 변주 측면에 의해 수세기 동안 지속되어 왔던 전통의 잔여물이라면,
관조라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사람들은 오히려 이러한 흐름에 더 익숙해져 있다.
그래서 가끔은 완전히 정지해 있는 음악을 내 속에서 끌어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몇 가지 장르가 떠오른다.
하지만 라이브 음악에 있어 진동 상황에서도 움직임은 있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정지’란 존재하는 것일까.
‘침묵’을 음악적 기법으로 활용한 샤리노조차 철저한 침묵 속에 놓이지는 못했다.
또다시 실패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 자기합리화적인 발상을 통해 관조에 한 발짝 다가가기로 했다. 사람의 눈은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물체의 관계를 인지하고 구별해내기 때문에,
사실상 관조란 하나의 물체를 온전히 바라본다기보다 사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내면에 있는 예술성 을 발견해내는 일인 것이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