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우리나라 여러 지역의 경쟁력
Автор: Geogrpahy сегодня
Загружено: 15 авг.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457 просмотров
[2015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사회2 9단원 학습영상 공릉중 지리교사 박의현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여러 지역의 경쟁력에 관해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오늘날 세계는 각 지역이 국가 중심적인 질서에서 벗어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새로운 주체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즉, 각 지역이 해당 지역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 세계화 시대에 적응해 나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역화 전략은 각 지역의 경쟁력 있는 특성을 발굴하고 널리 알리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즉,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역화 전략은 지역의 긍정적 이미지를 강화하거나 부정적 이미지를 긍정적 이미지로 전환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지역화 전략은 지역 주민들의 지역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긍심을 증진합니다. 그리고 지역화 전략은 관광 산업의 발달, 기업 유치로 인한 일자리 창출, 지역 상품과 서비스 판매량 증가 등에 기여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화 전략에는 지역 브랜드, 장소 마케팅, 지리적 표시제 등이 대표적입니다.
우선 지역 브랜드입니다. 해당 지역을 상징하는 로고, 슬로건, 캐릭터 등을 만들어 지역 그 자체 또는 지역의 상품과 서비스 등을 소비자에게 특별한 브랜드로 인식시키는 전략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강원도 평창의 ‘HAPPY 700’, 서울의 ‘Seoul, my soul’, 미국 뉴욕의 ‘I♥NY’ 등이 대표적인 지역 브랜드입니다. 이러한 지역 브랜드 개발은 왜 하는 것일까요? 지역 브랜드의 가치가 높아지게 되면 해당 지역의 상품이나 서비스가 다른 지역의 소비자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고, 지역의 이미지가 좋아져 관광객과 기업의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지역 경기가 활성화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장소 마케팅입니다. 특정 장소를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고, 이를 개발하는 전략입니다. 즉, 특정 장소가 지닌 유형·무형의 자산이나 고유한 특성을 발굴한 뒤, 이를 해당 지역의 이미지로 만들어 홍보하고 판매합니다. 장소 마케팅을 구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지역성을 활용한 지역 축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함평군은 아름답고 깨끗한 자연의 상징인 나비와 꽃을 소재로 함평 나비 축제를 개최하였고, 보령시는 해안선을 따라 펼쳐져 있는 갯벌을 소재로 보령 머드 축제를 개최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지역의 특징을 활용해 박물관을 개관하거나 지역의 랜드마크를 이용해 지역을 홍보하는 활동도 장소 마케팅에 해당합니다. 이때 랜드마크는 뉴욕의 자유 여신상, 파리의 에펠탑처럼 지역을 상징하는 건축물이나 조형물을 의미합니다. 장소 마케팅을 통해 지역의 독특한 정체성과 이미지를 창출함으로써 주민들이 자긍심을 가지도록 하고, 관광객을 유치하고 기반 시설을 확충하며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지리적 표시제입니다. 지역 생산품의 품질과 특성이 근본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비롯된 경우, 국가가 해당 지역의 이름을 상표권으로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보성의 기후, 토양 등 보성의 지리적 특징 때문에 차나무가 잘 자라 보성에서 생산하는 녹차의 품질이 우수하다면, 보성 녹차를 지리적 표시제 상품으로 등록해주는 것입니다. 실제로 보성 녹차는 우리나라 제1호 지리적 표시제 상품입니다. 지리적 표시제에 등록되면 다른 곳에서 함부로 상표권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적 권리가 발생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의 특산품을 보호하고, 지역 특화 산업으로 육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리적 표시제 상품 자체가 지역을 홍보하고 지역 이미지를 개선해 주기 때문에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이천 쌀, 횡성 한우, 순창 고추장, 청송 사과, 청양 고추, 영동 포도 등 다양한 특산품이 지리적 표시제 상품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화 전략을 세울 대는 우선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지역 고유의 특징을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화 전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참여와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1-2] 우리나라 여러 지역의 경쟁력](https://ricktube.ru/thumbnail/d9D3mBcv5fo/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