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헬레니즘문화의 중심지
Автор: 유럽TV 에우로파
Загружено: 21 нояб.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491 просмот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무세이온Mouseion
#알렉산더 대제 동방정복
#마케도니아, 헤라클레스, 카라노스
#헬레니즘 문화
#알렉산드리아 등대
#프톨레마이어스 왕조
#클레오파트라
#율리우스 카이사르, 로마제국
#토라, 모세오경, 70인역
#뮤즈, 므네모시네
#아리스토텔레스의 소요학파
#페리파토스Peripatos 학파
#리케이온Lykeion
#알렉산드리아의 유클리드
#시라쿠사의 아르키메데스
#세라피스Serapis, 세라페움Serapeum 신전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
#아르고나우티카Argonautica
#테오도시우스Theodosius
#새로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이집트 북부 지중해의 항구도시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 있었다. 페르시아를 물리치고 이집트를 정복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제는 이집트 해안에 자신의 이름을 딴 거대한 그리스 도시를 건설하고자 했다. 알렉산더 대제는 헤라클레스와 마케도니아의 시조 카라노스Caranus의 후손이다. 헬레니즘 문화를 세계에 보여주려는 그의 뜻에 따라 BC 331년에 세워진 나일 강 하구의 건립된 지중해 항구도시이다.
헬레니즘(BC 336-30년)시대는 BC 336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제의 즉위한 해부터 시작한다. 고대 그리스는 BC 338년 마케도니아에 의해 정복당하고, 알렉산더 대제의 즉위와 함께 고대 그리스의 세 번째 시기인 헬레니즘(BC 336-30년) 시기가 시작한다. 그리스 사람은 헬레네Hellene 사람이라고 불렸고, 그리스는 헬라스Hellas라고 불렸는데, 그리스주의를 의미하는 헬레니즘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알렉산더 대제는 동방 원정에서 그리스 문화를 확장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른바 헬레니즘Hellenism 문화(BC 336-30년)의 전파이다. 마케도니아는 BC 146년 로마의 속국이 되는데, 이로 인해 고대 그리스는 완전히 붕괴한다. 헬레니즘 시대의 마지막 시기인 BC 30년은 로마가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복속시킨 해이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마지막 왕은 클레오파트라 여왕이다. 헬레니즘 세계는 마케도니아, 그리스, 이집트, 소아시아,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인도 등에 이르는 대제국이다. 알렉산더 대제는 동방 원정에서 20개 이상의 도시를 세웠는데, 이 도시들은 군사기지가 아니라 문화의 중심지이다. 이 중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가 알렉산드리아이다.
알렉산드리아에는 세계 7대 불가사의 중의 하나인 ‘알렉산드리아의 등대’가 있다. 항구에 드나드는 배들을 위해 BC 250년경에 파로스Pharos 섬에 세워진 이 등대는 1375년 지진 때 무너졌다. 그러니까 이 등대는 1500년 이상 서 있었다. 약 137m 정도에 달하는 이 등대는 1889년 에펠탑(300m)이 세워지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 알렉산드리아는 동양과 서양을 연결하는 대도시이고, 상업의 중심지이며, 헬레니즘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클레오파트라의 죽음까지 300년간 지속된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수도이다.
유럽연구소 소장
강의/ 컨설팅/ 원고의뢰 문의
연락처: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