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조선시대에도 여권이 있었다?
Автор: 짧은지식연구소
Загружено: 17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2 373 просмотра
“여권은 현대의 발명이다?”
NO! 500년 전 조선에도 출입국 증명서, 즉 '조선판 여권'이 있었습니다!
사신과 통신사에게 발급되던 관문패는 이름, 직책, 목적지까지 기록된 철저한 신분 확인서였죠.
그런데… 이걸 잃어버리면 처벌까지 받았다?!
지금의 여권보다 더 엄격했던 조선시대 여권 시스템,
그 놀라운 사실을 지금 확인하세요!
👇 여러분은 어떤 제도가 더 체계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지금 여권 vs 조선 관문패!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
📌 역사 속 숨은 이야기, 매일 짧고 강하게 전해드립니다.
#조선시대 #관문패 #한국역사 #여권의역사 #역사쇼츠 #조선통행증 #조선사회 #역사이야기
“Passports are a modern invention?”
Think again! Over 500 years ago, Korea had its own passport system called "Gwanmunpae."
Used by royal envoys and diplomatic missions, these documents recorded names, positions, and destinations — and losing it could get you punished!
The Joseon Dynasty’s travel pass was stricter than today’s passports in many ways.
So which system do you think was more organized?
Modern passports vs. Joseon’s Gwanmunpae — comment your thoughts below! 💬
📌 Discover powerful, hidden moments from history in under 1 minute – daily!
#KoreanHistory #PassportHistory #JoseonDynasty #ShortsExplained #DidYouKnow #HistoryShorts #AncientKorea #Gwanmunpae #TravelHistory #HistoricFacts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