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넘어지면 4배 충격…“노년층 20%는 사망” / KBS 2022.01.02.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2 янв.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16 328 просмотров
이번엔 낙상 사고 얼마나 위험한 지 보여 드립니다. 뒤로 넘어지는 게 훨씬 더 위험합니다. 체중의 무려 네 배나 충격을 받습니다. 특히 노인이 뒤로 넘어지면 고관절이 부러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아주 치명적입니다. 각종 후유증으로 1년 내 사망하는 노인이 다섯 명 중 한명 꼴입니다.
[리포트]
미끄러운 곳에서 의지와 상관없이 넘어지고 부딪히는 낙상 사고.
추위로 근육이 긴장돼 있고 두꺼운 외투로 활동성이 떨어지는 겨울철, 더 자주 일어나는데요.
이 같은 낙상사고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20년 기준, 한해 5만여 명에 이릅니다.
불과 5년 사이 140% 넘게 증가한 수치인데요.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늘어난 데다 코로나19 이후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다 보니 근육량이 줄어들면서 근골격계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전체 낙상사고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중장년층과 노인이라면 더욱 주의해야 하는데요.
뼈의 밀도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 낙상에 따른 부상의 위험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황지효/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 "일단 넘어지면 모든 뼈는 다 골절이 일어날 수 있는데요. 50~60대 정도 균형 감각이 있는 분들은 주로 손을 많이 짚기 때문에 손목이나 어깨 골절이 많이 일어나고요. 한 70~80세, 많게는 90세 정도 노인의 경우 균형 감각이 조금 떨어지기 때문에 손으로 짚지 못하고 바로 엉덩방아를 찧는 경우가 잦아 고관절이나 척추 골절이 많이 일어나죠."]
길바닥이 미끄러워 생기는 겨울철 낙상은 대부분 뒤로 넘어지는데요.
넘어질 때의 충격은 어느 정도일까.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의 실험 결과를 보면 앞으로 넘어질 땐 손목과 무릎에 충격이 분산돼 몸무게의 2.5배 정도 충격을 받는 반면 뒤로 넘어지면 충격이 몸무게의 4배에 달하고 충격 부위도 엉덩이에 집중돼 피해가 훨씬 커집니다.
특히, 골반과 다리를 연결해 주는 고관절 골절의 경우 뼈가 약한 노인들에겐 치명적일 수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하는데요.
[황지효/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 "고관절은 우리가 움직이는 데 가장 필수적인 관절인데 그곳에 골절이 생기면 뼈가 다시 붙더라도 기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고관절 골절 이후 1년 정도 경과를 지켜보면 한 20% 정도가 사망을 하고요. 수술을 안 하는 경우에도 많은 합병증, 욕창이나 요로 감염, 폐렴, 패혈증 등으로 사망하기 때문에 고관절 골절은 그래서 굉장히 치명적인 (부상입니다)."]
이 때문에 겨울철엔 일단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는 게 최선인데요.
미끄러운 곳에서는 걷는 속도를 평소의 절반 수준으로 줄여 천천히, 작은 보폭으로 걷는 게 좋습니다.
춥다고 주머니에 손을 넣기보단 장갑을 끼고 다녀야 넘어져도 큰 부상을 막을 수 있는데요.
또, 계단이나 가파른 언덕길은 되도록 난간을 붙잡고 다니는 게 안전합니다.
지팡이와 같은 보행 보조 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낙상 #빙판길 #미끄럼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