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뇌는 어디까지 확장되는가_익스텐드 마인드
Автор: 오인환TV
Загружено: 8 дек.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354 просмотра
가수들은 노래를 부를 때, 다양한 제스처를 취한다. R&B 가수 '박정현' 님은 노래할 때, 풍부한 제스처를 이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녀의 손동작은 3차원을 휘저으며 음과 함께 한다. 한 방송사에서 그녀의 손을 멈춰 달라는 요청을 하자, 그녀는 노래가 잘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노래는 목으로 부르는 것 같지만, 더 풍부한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 몸이 함께 움직인다. 그것은 더 많은 것을 표현할 수 있게 하고 받아드릴 수 있게 한다. 뇌는 컴퓨터와 다르다. 단순히 사고만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 아니다. 이는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기관으로 공간적으로 사고하며 외부로 표출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소득자는 저소득자보다 더 풍부한 제스처를 취한다. 각각의 부모를 보고 자란 아이들은 부모의 제스처를 닮는다. 고소득, 고학력자에게서 자란 생후 14개월의 아이들을 관찰한 결과, 다양한 제스처를 통해 더 많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었다. 4년 후, 그들이 학교에 입학할 시기에 어휘 이해력 점수는 평균 24점이나 차이가 났다. 아인슈타인은 말했다.
"어떤 과학자도 방정식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일차원적이고 이차원적인 방식은 뇌와 맞지 않다. 간혹 누워 있다가 생각할 거리가 있으면 몸을 일으켜서 앉아서 생각하게 된다. 생각의 깊이가 깊어지면, 사람은 벌떡 일어난다. 생각을 정리해야 할 때, 인간은 제자리를 걷는다. 나또한 책을 읽을 때, 제자리를 걸으며 읽기를 좋아한다. 인간의 뇌가 단순히 생각을 위해 존재한다는 생각은 '활동적인 뇌'를 혹사하는 방식이다. 뇌는 몸으로 확장되고 관계와 환경으로 확장된다. 인간은 기록하고 다음 이에게 기록을 넘긴다. 같은 방식으로 전파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인터넷상에 올려 초고속으로 뿌리기도 한다. 뇌는 어떤 식으로 확장하는가. 이를 생각해보자면 뇌를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게 된다.
오랜기간 독일은 유럽의 경제 대국이었다. 그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회사 내부에서 전문적인 기술을 배우는 '도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독일을 산업 강국으로 번창하게 했다. 다만, 과거 제조업에서 현재 정보 중심업으로 산업구조가 변경되면서 '도제 프로그램'은 재조정이 필요했다. 고로 학생들에게 내적 사고 과정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재구성한다. 이를 '인지적 도제(cognitive apprenticeship)이라고 부른다. 지식 작업에 부합하는 도제 시스템의 특징은 이렇다.
첫째, 과제를 소리내어 설명하기
둘째, 학습자가 직접 과제를 시도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셋째, 학습자의 과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면 서서히 학습 지도를 줄여 나가기
넷째,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이로써 포츠담 대학교의 이론컴퓨터공학과의 낙제율은 60%에서 10%미만으로 떨어진다. 구체적인 일을 수행하는 것보다 내적 사고과정에 참여하는 일이 더 큰 성장을 준다는 의미다. 전문가를 모방하고 자신의 스타일로 변화를 주는 학습은 가치가 충분하게 있다. 중요한 것은 직접 체험 하는 것이며, 수동적인 학습이 아니라 스스로 전문가와 관계를 형성하며 능동적으로 얻어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내적 사고 과정'을 체험한다. 단순하게 배우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와 소통하며 그들을 닮아가는 것은 빠른 성장을 의미한다.
모방은 다른 이의 뇌를 복제하는 것이다. 복제는 빠른 성장을 만든다. 금융학을 가르치는 제럴드 마틴(Gerald Martin)과 존 푸텐푸르칼(John Puthenpurackal) 교수는 독특한 조사를 했다. 바로 워렌버핏이 사는 종목만 따라 사더라도 평균 10% 이상의 시장 수익을 얻는 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모방을 비파고 자신들만의 더 나은 프로세스를 찾으려고 한다. 그것이 우리를 더 가치 있게 만든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기분을 더 낫게 만들지도 모른다. 다만 우리보다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이들을 모방할 때,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속된 말로, 워렌버핏은 '가치투자'를 하고 추종자들은 '같이투자'를 한다는 말이 있다. 전문가를 모방하는 것은 다양한 해결책 여럿을 두고 저울질할 수 있음을 말한다. 우리의 뇌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기관은 아니다. 뇌는 독자적인 기관이 아니라 짧게는 몸에 연결되어 있고 넓게는 다른 이들과 환경에 연결되어 있다. 영국의 개방대학교 조직행위론을 가르치는 마크 펜톤 교수는 '갇혀 있는 뇌'의 신봉자였으나, 투자사 여섯 곳의 전문 트레이더들과 인터뷰를 하는 와중, 그들의 뇌가 갇힌 사고 방식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뇌'는 두개골 속에 같혀서 독자적인 업무를 하는 기관은 아니다. 인체의 뇌 크기를 볼 때, 유의미한 뇌 크기의 확장은 200만 년 전에 일어난다. 이 시기에 인간은 뇌 뿐만아니라 유산소 활동 수준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인간의 생활방식이 수렵과 채집으로 바뀌면서 더 많은 신체 활동을 하게 되고 이로써 집중력과 기억력, 공간탐색능력, 운동제어 능력, 계획 및 의사 결정 능력이 복잡학 상용됐다. 단적인 예로 무라카미 하루키는 일주일에 80km를 달린다. 또한 24회나 마라톤 대회를 참여하기도 했다. '뇌'가 '운동' 기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뇌는 어떤 식으로 확장하는가. 혹사 당하는 뇌를 조금 더 능동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필요한가. 창조성은 어떻게 바깥에서 탄생하는가. 이것은 '뇌'에 대한 이야기지만, 삶의 전반에 대해 담고 있다.
![[과학] 뇌는 어디까지 확장되는가_익스텐드 마인드](https://ricktube.ru/thumbnail/eU2-vLG7myA/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