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해설 | 제1품 법회인유분~제9품 일상무상분
Автор: 박소천불교TV
Загружено: 2 дек.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86 просмотров
금강경 해설
제1품 법회인유분~제9품 일상무상분
영상 내용
제1품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옥근전(玉筋篆)서체
제2품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기자(奇字)서체
제3품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대전(大篆)서체
제4품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소전(小篆)서체
제5품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구첩전(九疊篆)서체
제6품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분서(墳書)서체
제7품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수서(穗書)서체
제8품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도해전(倒薤篆)서체
제9품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유엽전(柳葉篆)서체
금강경(金剛經)은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본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입니다.
부처님이 가섭제자에게 가르침으로 전달한 경전으로,
반야사상(般若思想)을 중심으로 삼아 공(空)의 철학과
깨달음의 본질을 설명합니다.
금강경 주요내용
1. 반야바라밀과 무상(無相)의 지혜
금강경은 모든 존재가 본질적으로 공(空)하며,
실체가 없음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집착을 벗어나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음을 설파합니다.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모든 만들어진 것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으며,
거품과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번개 같으니,
이와 같이 관찰해야 한다.
2. 자아(我)와 법(法)에 대한 집착의 해탈
금강경은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이라는 네 가지 집착(四相)을
내려놓을 것을 권장합니다.
자아에 대한 집착과 외부 세계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림으로써, 참된 자유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무주심(無住心)과 무소유
모든 마음은 어디에도 머물지 않아야 한다는
가르침은 수행자가 특정 대상에 집착하지 않고,
모든 현상을 초월하도록 이끕니다.
4. 공덕의 의미
선행이나 공덕을 베풀 때, 공덕을 계산하거나
기대하는 마음이 없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진정한 보시는 무심(無心)으로 행해져야 합니다.
🙏 우리 마음속에 깊이 금강경의 가르침이
새겨져 평화롭고 행복한 삶이 펼쳐지도록
응원합니다.
🔔구독, 👍 좋아요, 💬 댓글로 응원 바랍니다.
🙏 (합장) ,☸️ (법륜), 🕉️ (옴), 🌸 (연꽃)
문의: [email protected]
Copyright(C)2015. 박소천 All rights reserved
#금강경#대승불교#반야바라밀#공#무상#깨달음
#자비#마음의평화#불교의지혜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