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 봉황산 일붕사 . 일붕 사경보 초대법왕
Автор: 자미우너
Загружено: 30 ма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208 просмотров
자아(自我)와 인연 (因緣)을 찾아서
떠나는...힐링 사찰 여행💚
어디로 : 의령 봉황산 일붕사
누구와 : Honey와 함께
언 제 : 2025-03-29
맛 집 : 화정소바😀
비빔소바 9
온소바(대) 9
메밀전병 6
의령망개떡(포장) 30
자동차 주행거리 : 386km
자동차 주행경로 : 대전 - 의령 - 화정소바
의령 솥바위 - 호암이병철 생가
일붕사 - 대전
일붕사는 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평촌리 산 62에 있는 사찰이다.
천혜의 자연요건을 갖춘 봉황산
봉황대에 위치한 일붕사는
영국 기네스북 세계 최대의
석굴법당으로 등재되어 있다.
727년에 신라의 혜초스님이 창건한 성덕암이 전신이다.
대한 불교 일붕 법왕종 총 본산인 일붕사에는 세계 최대의 석굴법당과 바위틈에 자리잡은 나반존자,
병풍바위 밑의 약사여래불,
삼천불의 지장보살이 모셔져 있는
지장전이 있으며,
83과의 일붕존자 진신자리가 모셔져 있다.
또한 일붕존자 서경보 스님의 유품이 마련된 기념관도 있다.
거대한 기암괴석 수직 절벽인 봉황대는 일붕사 입구에 있으며 모양이 봉황의 머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절벽은 지질학적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경상누층군(慶尙累層群)
칠곡층(漆谷層)에 해당한다.
신라와 백제의 접경지로 군사적 요충지였던 합천군으로 가는 길목이 의령군 궁류면의 봉황대였으며 신라군의 선봉장 김춘추의 아들 법민(후에 문무왕)이 봉황대에 진을 치고 백제의 동태를 살폈다고 한다.
일붕사가 소재한 봉황산은 신라시대 삼국을 통일에 기여한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첫 요새지로서, 신라 최고의 군사 부대였던 봉황대의 이름을 따 봉황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727년 신라 성덕여왕 26년에 혜초 스님이 중국과 인도의 불교 성지를 순례하고 돌아오던 중 꿈에 기암괴석으로 둘러싸인 절벽에서 지장보살님이 환하게 웃으며 이곳에 호국영령들을 위로해 줄 불사를 하면 훗날 큰 보배가 될 것이라 듣게 된다.
혜초스님은 귀국하는 길로 성덕여왕께 말씀드리고 전국의 명산을 찾아 헤매다가, 꿈에 본 기암절벽과 모습이 흡사한 이곳 봉황산에 사찰을 건립하여 당시 성덕여왕의 이름을 따 성덕사라고 하던 것이 현재 일붕사의 전신이라 전해진다.
일붕선종교 서경보 초대법왕은
세계인류평화 및 세계전법 세계불교의 단합을 위해 제14차 세계불교도우의회 국제대회에서 세계불교 법왕청 설립을 제안하고
1986년부터 설립위원회를 결성,
1992년 세계불교 법왕청 설립 총회에서 초대 법왕(法王)으로 추대되었다.
신라의 혜초 스님이 창건한 성덕암이 일붕사의 전신이다.
대웅전과 무량수전, 두 개의 동굴 법당은 기네스북에 등재될 정도로 규모가 크다
약 1330년 전에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할때 최고의 격전지였고, 이 지역의 수많은 영령을 위로하기 위해 사찰을 건립했다.
그 후 누전으로 인한 화재로 사찰이
완전히 소실되었고, 1987년 혜운 스님이
산의 정기가 너무 강해 기를 줄이기 위해 굴을파야 한다는 큰 스님의 말을 받아들여 거대한동굴 법당을 만들게 되었으며
사찰명을 일붕사로 명명하여 오늘에 이른다. 마당엔 세계불교초대 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의 사리탑이 자리하고 있다.
오른쪽 언덕으로 올라가면
봉황산 중턱에 황금색으로 치장한 극락보전과 용왕당, 산신각이 있는 사담암의 모습까지 둘러본다.
일붕사 입구부터 시작되는 산책로를 이용해 봉황대까지 잊지 말고 돌아보자.
그곳에서 보는 일붕사의 모습도 일품이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