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플러스]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 전문가들이 가장 쉽게 설명해드림 (25.10.21.)
Автор: KBS시사
Загружено: 2025-10-22
Просмотров: 48212
[시사기획 창 ‘머니 리셋, 스테이블 코인‘ 중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첫 번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 이야기에서 시작해볼까요.
출발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였습니다.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투자은행의 부실 파생상품들이 세계 경제의 폭탄이 됐습니다.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하고 한 달 반 뒤, 암호학자들에게 이메일 한 통이 날아왔습니다.
발신자, ‘사토시 나카모토’.
9페이지짜리 논문이었는데 제목은 바로 이랬습니다.
[인터뷰] 고란/가상자산 전문가
2008년 10월 31일에 비트코인 백서라고 하는 게 공개가 됐어요. 그 백서의 제목이 [Bitcoin :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에요.
백서의 제목이 그래서 비트코인 사토시가 만들었을 때는 목표가 뭐였냐면 peer to peer 그러니까 P2P로 거래하겠다는 거죠. 지금까지의 우리가 가치에 이전을 하려면 중간에 금융 기관을 끼고 있어야 되잖아요. 나는 내가 내 가치를 보낸다라고 생각하지만 실질적으로 내가 직접 보내는 게 아니라 은행이 하는 거잖아요. 그래서 그 백서에 보면 이제 초록의 가장 중요한 문구가 뭐냐 하면 위드아웃 고잉스로워 파이낸셜 인스티튜션 그러니까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라는 목적이 있어요.
은행 없이 컴퓨터 코드로 발행되고, 거래내역이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이에게 공유돼 위, 변조가 불가능한 디지털 가상화폐, 이것을 가능하게 한 핵심, 바로 분산원장 기술의 하나인 블록체인입니다.
[인터뷰] 고란 / 가상 자산 전문가
원장인데 분산이 됐어 야 원장도 어려운데 그게 무슨 소리야라고는 생각이 드는데요. 예를 들면 저랑 기자님이랑 계약서를 써요. 계약서를 쓴 다음에 어떻게 하나요? 간인 찍고 뭐 하죠? 그 이유가 뭐예요? 이게 법적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거죠. 그래서 이게 진위를 어디에다 판정을 받냐면 우리로 치자면 법원에 간다거나 아니면 금융회사에 가면 금융기관에서 이건 진짜 서류야 가짜 서류야라고 판정을 하잖아요. 그러니까 중앙화된 어떤 주체가 이게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판별을 해 줘요. 그런데 블록체인 기술은 그걸 이렇게 이게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중앙화된 주체가 판단하는 게 아니라 이 거래를 하나를 작성한 다음에 열 사람이 모여가지고 너 봤지 너 봤지 너 봤지 너 봤지 너 봤지 열 사람이 다 맞아 진짜야라고 하면 진짜인 거예요. 이렇게 해가지고 거래 기록의 진위를 여러 권한을 가진 사람들이 나눠 가져서 진위를 판별한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하지만 첫 가상화페인 비트코인에는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바로 엄청난 가격 변동성입니다.
[인터뷰] 김동환 / 원더프레임 대표
이 비트코인이 2009년에 나와서 지금 2025년이니까 16년이 흘렀습니다. 사람들의 주목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한 2014년 정도인데 그때와 비교했을 때도 수천 배 이상 가격이 상승을 했고 그렇게 가격이 크게 변동을 했었던 이유는 비트코인 가격이라는 거는 시장에서 이제 매수 매도에 의해서 결정이 되는 거고, 어떤 아주 특정한 내재적인 가치가 없기 때문인데 이런 부분들 때문에 비판도 많이 받았고요. 그리고 사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하다라는 비판도 있었고요. 그랬기 때문에 이제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물건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죠.
스테이블 코인은 블록체인 망 위에 올라가 있어서, 중앙화된 관리 주체가 없단 면에선 비트코인과 같습니다.
하지만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화폐, 금 같은 원자재 등 실물 자산과 가치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법정화폐 중에서도 달러에 가치가 고정된 것을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합니다.
테더사가 발행한 USDT와 서클사가 발행한 USDC가 시장의 9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테더나 서클 같은 발행사는 달러 스테이블 코인 하나를 발행하면 1달러를 받고, 그 달러를 은행에 적립하는 방식으로 환금성을 확보합니다.
[인터뷰] 얌키 찬 /서클사(USDC 발행) 부사장
저희는 준비금을 주요 금융기관들과 은행에 보관합니다. 나머지 10~20%는 각국 은행에 예치된 현금 예금으로, 고객들이 USDC를 가져오면 저희가 바로 법정화폐로 바꿔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자금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 것, 즉 투명성을 확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회사 운영에, 그리고 저희와 함께 일하고 저희를 신뢰하는 고객들에게 말입니다
So relationships with large financial institutions and cash at banks. The
remaining 10 to 20 percent are cash deposits sitting at banks all around the world that support our customers that when they are bringing their USDC to us, we can provide them with fiat cash./(0900)So that's a level of transparency that is really critical and important not only for
how we operate but for our customers who are depending on us, who are working with us, that they know that the funds are ther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선거 후보의 승리가 확실시되던 지난해 11월 5일 밤, 비트코인은 7만50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지지자인 일론 머스크가 지지하는 도지코인도 급등했습니다.
유세 과정에서 트럼프는 틈만 나면 비트코인 대통령이 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당시 미국 대선 후보자
미국은 세계의 암호화폐 중심지가 될 것이고, 비트코인 초강대국이 될 것입니다.
“The United States will be the crypto capital of the planet and the Bitcoin superpower of the world.”
실제로 트럼프 임기가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지난 7월, 미국 의회는 스테이블 코인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른바 지니어스 액트라고 불리는 이 법안은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 주체와 준비자산 등을 분명히 규정했습니다.
테크기업도 발행할 수 있고 발행사는 발행량 만큼, 달러나 3개월 미만의 미국 국채를 담보로 가지도록 했습니다.
선제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인 겁니다.
아예 트럼프의 두 아들은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을 세우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녹취] 에릭 트럼프 / 트럼프 차남·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공동 창업자
월드 리버티는 제가 정말 사랑하는 회사이고, 제가 공동으로 설립한 회사입니다. 우리 회사는 지금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스테이블 코인을 보유하고 있고 저는 우리가 스테이블 코인 분야에서 이미 글로벌 강자로 자리 잡았다고 생각합니다.
World Liberty is a company that I absolutely love. It's a company that I co-founded. We have the fastest growing stablecoin anywhere on Earth and I think we've become a global powerhouse in the Stablecoin
트럼프는 이 회사를 통해 USD1 이라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기도 했는데, 회사의 성장세에 힘입어 그의 자산은 1년도 안돼 4조2천억 원 넘게 늘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그리고 그의 온 가족이 이토록 코인과 사랑에 빠져 있는 이유는 뭘까?
현재 미국 정부가 진 빚은 37조 달러, 우리 돈으로 5경 원이 넘습니다.
매년 이자만 8800억 달러, 우리 돈 1200조원씩 내고 있습니다.
소위 1000조 원이라는 미국 전체 국방 지출보다 더 많습니다.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 갚는 데만 전체 재정수입의 6분의 1을 쓰고 있는 셈입니다.
(후략)
#스테이블코인 #머니리셋 #시사기획창 #스테이블코인 #AI에이전트 #비트코인 #AI #달러 #원화스테이블코인
취재기자: 이승준
촬영기자: 김민준
영상편집: 안영아
자료조사 : 임다경, 김서현
조연출 : 김세빈
방송일시: 2025년 10월 21일 밤 10시 KBS 1TV 시사기획 창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program.kbs.co.kr/1tv/news/si...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인스타그램 / window.sisa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