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опулярное

Музыка Кино и Анимация Автомобили Животные Спорт Путешествия Игры Юмор

Интересные видео

2025 Сериалы Трейлеры Новости Как сделать Видеоуроки Diy своими руками

Топ запросов

смотреть а4 schoolboy runaway турецкий сериал смотреть мультфильмы эдисон
dTub
Скачать

[속보] OECD의 경제전망 보고서 즉시분석 : “멕시코 경제위기 처할것” & “한국은 심각한 경기침체 피할 수 없어” [즉시분석]

김광석

김광석 교수

경제읽어주는남자

금리

경제전망

경제위기

경기침체

경읽남 김광석

피벗

한양대학교

한국경제산업연구원

2025년

트럼프

트럼프2.0

Автор: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Загружено: 17 ма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204 565 просмотров

Описание:

#OECD, #멕시코 #경제위기 #한국경제, #세계경제전망, #경제전망, #IMF, #경기침체, #리세션, #경제위기 #트럼프 #무역전쟁 #관세전쟁 #불확실성

[속보] OECD의 경제전망 보고서 즉시분석 : “맥시코 경제위기 처할것,” “한국은 심각한 경기침체 피할 수 없어” [즉시분석]

*** PPT 주요 내용
1. OECD의 2025년 세계 경제전망
2. 주요국제기구의 전망
IMF의 2024~2025년 세계경제 전망
3. OECD의 2025년 주요국 경제전망
OECD의 주요 선진국경제성장률 전망
OECD의 주요 개도국 경제성장률 전망

🚩[돈의 흐름에서 찾는 경제적자유, "김광석의 오피셜클럽" 신청하기] : https://us-all.kr/kyOtTAF

🚩 오프라인 무료특강 초대(김광석&이광수)
① 3/25(화) 부산 : https://forms.gle/apPNhnM4EvbYuNUt7
② 4/9(수) 서울 서초구 : https://forms.gle/TzJzsQiMfR4qLAxVA

🚩 김광석 『피벗의 시대 2025년 경제전망』
(교보) https://bit.ly/47iCsxq
(예스24) https://bit.ly/4gcRucm

🚩 김광석, 박세익, 박정호, 오태민 『트럼프 2.0』
(교보) https://url.kr/5rd2o9
(예스24) https://url.kr/afp34o

** OECD 중간 경제전망 보도자료 **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3.17일(월) 11:00(프랑스 파리 기준, 한국시각 19:00, 국제엠바고)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전망) 매년 2회(5~6월, 11~12월), 세계경제+회원국+주요 20개국(G20) 국가 대상(경제협력개발기구 중간 경제전망) 매년 2회(3월, 9월), 세계경제+주요 20개국(G20) 국가만 대상
경제협력개발기구는 ’24년 세계경제는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나(remained resilient), 최근의 경제활동 지표들은 글로벌 성장 전망이 완만해질 것(softening of global growth prospects)을 나타내기 시작했다고 진단했다. 또한 무역 정책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여, 지속될 경우 글로벌 경제 성장 영향을 주고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수 국가에서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향후 세계경제 성장은 높아진 무역장벽과 지정학적․정책적 불확실성 증대가 동반되면서 ’24년 3.2%, ’25년 3.1%, ’26년 3.0%로 완만해질(moderate) 것으로 전망했다. ’25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이전 전망치(’24.12월 기준 3.3%)에 비해 △0.2%p 하향조정 되었다. 국가·지역별로 보면, 미국의 경우 관세율 인상 발효 등으로 성장이 둔화되어 ’25년 2.2%, ’26년 1.6% 성장을 전망했다. 유로존의 경우 지정학적․정책적 불확실성이 성장을 제약하여 ’25년 1.0%, ’26년 1.2%의 성장을 전망했다. 중국의 경우 관세의 부정적 영향이 정책 지원 강화로 상당 부분 상쇄(largely offset)되면서 ’25년 4.8%, ’26년 4.4%의 성장을 전망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무역 개방도가 높은 점, 미국의 관세율 인상 등으로 부정적 영향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어, 캐나다는 ’25년 0.7%, ’26년 0.7%의 성장, 멕시코는 ’25년 △1.3%, ’26년 △0.6%의 성장을 전망했다.
물가상승률은 이전 전망보다는 높지만* 경제 성장이 완만해지면서 여전히 둔화(still moderating)되어 G20 물가상승률을 ’25년 3.8%, ’26년 3.2%로 전망했다.
G20 물가상승률 전망치(OECD,’24.12월 기준→’25.3월 기준,%,%p괄호안): (’25년)3.5→3.8(+0.3) (’26년)2.9→3.2(+0.3)
한국경제의 경우 ’25년 1.5%, ’26년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는 한편, 물가상승률은 ’25년 1.9%, ’26년 2.1%로 전망했다. 최근 무역장벽 확대 및 지정학․정책적 불확실성 증가 등으로 주요국의 ’25년 성장률 전망치가 지난 ’24.12월 전망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하락*함에 따라, 한국의 ’25년 성장률 전망치도 이전 전망치(’24.12월 기준 2.1%)에 비해 낮아졌다.
’25년 성장률 전망치(OECD,’24.12월 기준→’25.3월 기준,%,%p괄호안): (세계)3.3→3.1(△0.2) (G20)3.3→3.1(△0.2) (유로존)1.3→1.0(△0.3) (미국)2.4→2.2(△0.2)(일본)1.5→1.1(△0.4) (캐나다)2.0→0.7(△1.3) (멕시코)1.2→△1.3(△2.5)
아울러,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세계경제 성장의 하방요인으로 글로벌 경제의 분절화 심화(further fragmentation),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등을 지적했으며, 상방요인으로 관세 장벽 인하를 위한 합의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 권고와 관련하여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중앙은행이 높은 불확실성과 무역비용 상승 가능성에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정정책 측면에서는 부채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고 정부가 미래의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재정 규율(fiscal discipline)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글로벌 무역 체계 내에서 우려 사항을 함께 해결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 경쟁 촉진을 위한 구조 개혁, 인공지능 기술 확산 지원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도 권고했다.

󰊱 (세계경제 동향) 성장 회복세 유지(Remained resilient), 인플레이션 압력 지속
ㅇ ‘24년 세계경제는 미국과 중국등 대규모 신흥시장의 견고한 성장세(robust expansion)으로 회복세 유지(remain resilient)
▪미국은 견고한 민간 소비에 힘입어 내수 성장이 굳건한 (solid) 속도로 지속
▪유로 지역은 프랑스와 독일의 수출 감소에 따른 4분기 위축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안정적 성장
▪일본은 긴축적인 재정․통화정책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회복세 유지(remained resilient)
▪중국은 정부의 인센티브와 빠른 수출 증가에 힘입어 민간 소비가 뒷받침되면서 성장률 개선
ㅇ 최근 경제활동 지표들은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글로벌 성장 둔화를 시사
①최근 무역정책 불확실성 증가로 경제정책의 불확실성 지표가 크게 상승②유로·美 서비스 부문 약세, 다수국가에서 소비자신뢰지수가 장기평균 수준 하회
▪무역 정책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여, 지속될 경우 글로벌 성장에 타격을 주고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
ㅇ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러 국가에서 계속되고 있음
ㅇ 글로벌 금융 여건이 다소 긴축적이고 최근 시장 변동성 확대

** OECD 「중간 경제전망」 주요내용 **
󰊲 (세계경제 전망) 경제성장률 '25년 3.1%, '26년 3.0%물가상승률 '25년 3.8%, '26년 3.2% (G20 기준)
ㅇ 세계경제 성장률 둔화가 예상되며, 무역장벽 강화, 지정학․정책적 불확실성 증가로 투자·가계지출에 부정적 영향 우려
(미국) 관세율 인상 발효에 따라 성장세 둔화 예상 → ’25년 2.2%, ‘26년 1.6%(유로존) 지정학적·정책적 불확실성이 성장세 제약 예상 → ’25년 1.0%, ‘26년 1.2%(일본) 기업 이익 호조와 임금 상승 영향 → ’25년 1.1%, ‘26년 0.2%(중국) 관세의 부정적 영향이 정책지원 강화로 상쇄 → ’25년 4.8%, ‘26년 4.4%
▪특히 대미 무역비중이 높은 캐나다·멕시코에 큰 타격 예상
미국은 캐나다·멕시코 수입상품에 대해 관세율 25%p 인상 조치 발표 → (캐나다) ’25년 0.7%, ‘26년 0.7% (멕시코) ’25년 △1.3%, ‘26년 △0.6%
ㅇ G20 물가상승률은 무역 비용 증가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 등으로 기존 전망치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

󰊳 (한국경제 전망) 경제성장률 '25년 1.5%, '26년 2.2%물가상승률 '25년 1.9%, '26년 2.1%
ㅇ 한국의 성장세는 유지될 것이나, 기존 예상보다는 완만해질 전망
“Growth in both Korea and Australia is projected to hold up, but to be weaker than previously expected.”

󰊴 (위험요인) 무역장벽 확대, 인플레이션 지속 등
ㅇ 하방요인으로 ➊무역 장벽 확대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분절화 가능성, ➋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통화정책 제약 및 금융시장 변동성, ➌국방비 등 지출에 따른 장기적 재정압박 우려 등 존재
▪다만, 향후 관세인하 합의, 지정학적 분쟁 해결 등은 상방요인

󰊵 (정책권고) 인플레 대응(통화정책) 및 재정 지속가능성 확보(재정정책)
ㅇ (통화정책) 불확실성 확대, 교역비용 상승 우려를 감안하여 근원 인플레이션이 계속 억제되도록 주의 깊게 대응 필요
ㅇ (재정정책) 부채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고 향후 재정충격·지출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규율 확보 필요
ㅇ (국제협력) 무역장벽 확대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공급망 다변화 등 회복력 강화도 병행할 필요
ㅇ (구조개혁) 경쟁제한적 규제 철폐 등을 통해 생활수준을 향상하고 인공지능 기술 확산 등을 통해 생산성 제고 필요

#경제읽어주는남자 #경읽남 #김광석교수 #경제전망 #경제공부
#2025년경제전망 #2025경제전망 #2025 #트렌드 #경제트렌드

[속보] OECD의 경제전망 보고서 즉시분석 : “멕시코 경제위기 처할것” & “한국은 심각한 경기침체 피할 수 없어” [즉시분석]

Поделиться в: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

Скачать аудио mp3

Похожие видео

“대통령 어려운 순간 SOS를 국정원에?”..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인터뷰 - [현장PLAY] MBC뉴스 2025년 04월 11일

“대통령 어려운 순간 SOS를 국정원에?”..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인터뷰 - [현장PLAY] MBC뉴스 2025년 04월 11일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의 진실, 이상민 거짓말에 있다 - 뉴스타파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의 진실, 이상민 거짓말에 있다 - 뉴스타파

[지식뉴스] 의도된 경기둔화였나, 불안에 휩싸인 미 경제...트럼프가 숨긴 진짜 시나리오 (ft.오건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단장) / 교양이를 부탁해 / 비디오머그

[지식뉴스] 의도된 경기둔화였나, 불안에 휩싸인 미 경제...트럼프가 숨긴 진짜 시나리오 (ft.오건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단장) / 교양이를 부탁해 / 비디오머그

중국과 러시아가 비트코인으로 에너지 결제한다고? 미중의 숨겨진 계산!

중국과 러시아가 비트코인으로 에너지 결제한다고? 미중의 숨겨진 계산!

[경읽남 162화] IMF의 두번째 경고 : 빚으로 쌓아 올린 중국의 경제성장, 증시 부양책 일시적 영향일까? 중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어 놓을까?

[경읽남 162화] IMF의 두번째 경고 : 빚으로 쌓아 올린 중국의 경제성장, 증시 부양책 일시적 영향일까? 중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어 놓을까?

💥미국 돋보기💥군함 이어 탱커에 쇄빙선까지...

💥미국 돋보기💥군함 이어 탱커에 쇄빙선까지..."빨리 좀 해줘"ㅣ이상은의 워싱턴나우

중소 건설사 파산 도미노? 부동산 PF가 불 지핀 금융불안 | 부동산 100분토론 2편

중소 건설사 파산 도미노? 부동산 PF가 불 지핀 금융불안 | 부동산 100분토론 2편

월가, 조만간 트럼프 최대 고민사항 터진다! l 국가신용등급 강등 악몽, 평가사도 폐지?ㅣ한상춘의 지금세계는ㅣ한국경제TV

월가, 조만간 트럼프 최대 고민사항 터진다! l 국가신용등급 강등 악몽, 평가사도 폐지?ㅣ한상춘의 지금세계는ㅣ한국경제TV

미국 빚, 도대체 얼마길래 증시까지 포기? l 1929년 데자뷔, S-공포 넘어 대공황 닥치나?ㅣ한상춘의 지금세계는ㅣ한국경제TV

미국 빚, 도대체 얼마길래 증시까지 포기? l 1929년 데자뷔, S-공포 넘어 대공황 닥치나?ㅣ한상춘의 지금세계는ㅣ한국경제TV

트럼프의 속내는 무엇일까? 중국 제외 상호관세 '90일 유예' & 한국 협상 준비시간 확보 | 김광석의 콜라보

트럼프의 속내는 무엇일까? 중국 제외 상호관세 '90일 유예' & 한국 협상 준비시간 확보 | 김광석의 콜라보

© 2025 dtub. Все права защищены.



  • Контакты
  • О нас
  • Политика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Контакты для правообладателей: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