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즈업 북한] 북한, 해금강호텔 철거 정황…금강산은 지금 / KBS 2022.03.19.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19 мар.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208 608 просмотров
최근 북한의 강경 행보는 방금 보신 군사 분야에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금강산의 우리 측 시설인 해금강호텔을 철거하는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2019년 금강산의 남측 시설을 모두 철거하라는 김정은 위원장 지시가 있었는데요. 코로나 19를 구실로 그동안 연기하다가 아무런 통보 없이 이행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남북 화해 상징이던 금강산 시설까지 철거하면서 정권 교체기 남한 정부를 압박하려고 애쓰는 모습입니다. 이번 주 클로즈업 북한에선 민족의 명산인 금강산의 어제와 오늘을 짚어보겠습니다.
[리포트]
1998년 11월 동해항. 2만8천 톤의 ‘현대 금강호’가 실향민과 관광객 천4백여 명을 싣고 북한 장전항으로 떠났다.
["대한민국 만세!"]
분단 반세기, 금단의 땅으로 여겨졌던 금강산의 문이 열리는 순간이었다.
구룡폭포와 만물상, 해금강 등 금강산의 절경들이 남측 관광객들을 맞았다.
분단과 전쟁의 상처로 얼룩진 한반도에 금강산은 평화와 화해의 상징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금강산관광이 10년 넘게 중단되면서 우리 측이 투자, 건설한 시설물들도 고스란히 방치되고 있다.
급기야 2019년 10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금강산 일대의 남측 시설을 들어내라고 지시했다.
[조선중앙TV : "볼품없이 들어앉아 명산의 경관을 손상시키는 너절한 시설물들을 싹 다 드러내고 누구나 조선의 명산을 보러 왔다가 조선의 건축을 볼 수 있게 우리 식으로 처음부터 새롭게 다시 꾸립시다."]
그리고 지난 12일과 17일, ‘미국의 소리’ 방송은 금강산 해금강호텔이 철거되고 있다면서 옥상 일부가 뜯긴 민간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우리 정부 당국도 철거 정황을 확인했지만, 북한의 공식 통보는 없었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금강산 관광 관련 사안은 반드시 남북 간 협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거듭 강조했다.
[이종주/통일부 대변인 : "정부는 금강산 관광과 관련하여 우리 기업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북측의 일방적인 조치가 있어서는 안 되며 모든 사안은 남북 간 협의를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에서 일관되게 대처해 오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남북 간 긴장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금강산 관광만큼은 남과 북의 공동 관심사이자 대표적인 협력 사업이었다.
1989년 실향민 출신 정주영 회장이 북한과 금강산관광 개발 의정서를 체결하면서 첫 물꼬가 터졌고, 9년 뒤인 1998년 10월에는 금강산 관광 사업에 대한 남북 합의서를 들고 돌아왔다.
[정주영/당시 현대그룹 명예회장/1998년 10월 : "금강산 개발 및 관광 사업에 대하여 합의에 이르러 관련된 계약을 체결하고 돌아왔습니다. "]
당시 북한도 정주영 회장의 방문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며 금강산 관광이 남북 협력 사업임을 분명히 했다.
[北 기록영화 : "민족을 위해 하나라도 기여하려는 그의 마음을 더 귀중히 여겨주시며 경제 협력 사업에서 그가 제기하는 모든 문제들을 다 풀어주셨습니다."]
한 달 뒤 역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북한 #해금강호텔 #금강산
![[클로즈업 북한] 북한, 해금강호텔 철거 정황…금강산은 지금 / KBS 2022.03.19.](https://ricktube.ru/thumbnail/iTME_jytRbE/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