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은 ‘방어용’ 대 ‘공격용’…사드 이견으로 트럼프 ‘버럭’” / KBS 2024.08.28.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28 авг.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5 556 просмотров
[앵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 문재인 정부와 북핵과 사드 배치 등을 두고 이견을 빚은 사실이 공개됐습니다.
맥매스터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회고록을 통해 구체적 일화를 털어놨는데요.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2017년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에 나선 문재인 전 대통령.
[문재인/전 대통령/2017년/공동기자회견 : "제재와 대화를 활용한 단계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해 나가자는데 뜻을 같이했습니다."]
공동 기자회견이 끝나고 당시 마이크 펜스 부통령에게 "후세인처럼 김정은도 방어를 위해 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펜스 부통령은 "재래식 대포가 있는데 왜 핵이 필요하냐"면서 "김정은이 '공격 목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이 정상회담이 끝난지 얼마 안 돼 북한은 동해상으로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당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아직 도발에 사용된 미사일을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으로 부를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했고, 맥매스터 전 보좌관은 "당신이 부르지 않는다고 해서 그게 ICBM이 아닌 건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이튿날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인 화성-14형을 발사했다고 확인했습니다.
[조선중앙TV/2017년 7월 5일 : "앞으로 (미국에) 작은 선물 보따리들을 자주 보내주자고…."]
사드 배치 일화도 공개됐습니다.
문 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환경영향평가를 거쳐야 한다"고 하자 트럼프가 "시간 낭비"라고 소리쳤다는 겁니다.
미국도 한국의 입장을 받아들였다는 문 전 대통령의 회고록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대목입니다.
한국이 미군의 주둔 비용에 더해 이익까지 지급해야 한다는 트럼프의 발언도 소개됐는데, 재선에 성공할 경우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도 난항이 예상됩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고석훈/자료조사:김희수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