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은 어떻게 만들까? | 수작업으로 만드는 중국의 폭죽 공장 | 과학의 결정체 '불꽃놀이' 🎆 | 폭발 원리 | 폭죽 제조법 | 다큐프라임
Автор: EBS 컬렉션 - 사이언스
Загружено: 8 окт.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40 256 просмотров
불꽃축제는 매년 규모도 커지고 그 형태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단순히 연화를 터뜨리는 것을 벗어난 상상 이상의 불꽃놀이인 것이다. 화려한 색깔과 모양, 심장을 울리는 소리 가운데에는 ‘과학’이 숨겨져 있다는데...
축제를 만드는 유쾌한 과학인 불꽃놀이, 과연 어떠한 과학이 담겨져 있을까?
불꽃의 크기와 모양을 가늠케 하는 ‘연화’의 비밀은?
연화는, 쉽게 설명해 불꽃놀이의 ‘폭죽’을 의미한다. 이 연화의 크기에 따라 불꽃의 크기가 달라진다.
연화의 기본재료는 바로 ‘흑색화약’이다. 질산칼륨과 황, 목탄을 갈아서 섞어 만들고, 빨리 탄다는 장점이 있어 작은 불씨만 있어도 바로 폭발한다. 불꽃놀이에 가장 많이 쓰이는 타상연화는 화약을 담아서 하늘로 이동시켜주는 ‘옥피’와 그 안의 ‘할약’과 ‘성(星, star)’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꽃의 화려한 문양을 결정하는 것이 ‘성’의 배열이다.
화학의 조화! 금속성분과 화약이 만나 불꽃색(色)을 내다!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등 다양한 불꽃색의 비밀은 무엇일까?
바로, 특정 금속성분이 화약과 함께 연소되면서 특유의 색을 나타내는 ‘불꽃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스트론튬은 빨간색, 나트륨은 노란색, 구리는 청록색... 금속원소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색을 만들어낼 수가 있다. 연화를 만들 때, 스타를 만드는 과정에서 특정 금속원소를 섞어줄 경우 특유의 불꽃색을 얻게 되는 것.
불꽃이 색을 만드는 과정을 화학실험을 통해 직접 알아본다.
#불꽃놀이 #불꽃축제 #연화 #화약 #폭죽
▶️ 프로그램 : 원더풀 사이언스 - 축제를 만드는 과학, 불꽃놀이
▶️ 방송일자 : 2011.01.06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