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опулярное

Музыка Кино и Анимация Автомобили Животные Спорт Путешествия Игры Юмор

Интересные видео

2025 Сериалы Трейлеры Новости Как сделать Видеоуроки Diy своими руками

Топ запросов

смотреть а4 schoolboy runaway турецкий сериал смотреть мультфильмы эдисон
dTub
Скачать

[뉴스잇] 산불 갈수록 대형화·상시화…근본적인 대책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Автор: 연합뉴스TV

Загружено: 2025-03-31

Просмотров: 1093

Описание:

[출연: 강호상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등 영남 지역을 휩쓸었던 역대 최악의 산불이 열흘만인 어제 모두 진화됐습니다.

갈수록 대형화, 상시화하는 산불에 대응체계 전환이 필요한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강호상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어제 열흘 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가 약 213시간 만에 완료됐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산불의 대응, 전체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주불 진화가 완료되며 산불 관리는 지방자치단체 중심 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된다고 하는데요. 각 시.도와 관계 기관을 중심으로 잔불 진화를 이어간다고 하는데, 혹시 재발화 될 가능성은 없겠습니까?

[질문 3] 산불이 장기화되면서 인명, 재산 피해도 컸습니다. 산불 피해 구역만 1천858㏊로 축구장 2천602개에 달하고요. 주택 3천여동이 전소되고, 국가유산 피해 30건, 농업시설 2천여건 등 시설 피해도 발생했다고 하는데요. 피해규모는 어느정도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4] 무엇보다 피해 복구작업, 생태계 복원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먼저, 이렇게 대형 산불로 폐허가 된 산림 생태계를 복원하려면 얼마의 시간이 소요됩니까?

[질문 5] 입지의 특성에 따라 복원 방법이 결정되어야겠지만, 자연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시간을 줘야한다, 인공조림사업을 실시해서 복원 작업을 서둘러야한다. 의견이 분분한데 교수님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어떤 방향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6] 무엇보다, 산불을 계기로 산림 관리 방식을 바꿔야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동안 산림청은 경제성이 높다는 이유로 곳곳에 소나무를 심고 활엽수 등 다른 나무를 솎아내는 ‘숲 가꾸기 사업’을 진행해 왔는데 이런 사업이 산을 더욱더 메마르게 만들었다는 지적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1] 실제로 우리나라는 전국 산림 중 침엽수림이 차지하는 비율은 36.9%로 활엽수(31.8%)보다 높다고 하는데요. 침엽수와 활엽수,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질문 6-2] 그래서 일각에서는 이번에 산불이 난 지역은 활엽수로 수종을 변경하는 방안을 찾아야한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7] 더불어 ‘간벌’ 작업도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숲이 지나치게 빽빽하면 산불이 더 빠르게 퍼지는 특징이 있으니 간벌을 하면서 숲의 밀도를 낮춰야한다는 겁니다. 간벌 작업이 산불 진화에는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보세요?

[질문 8] 일본은 방화림을 만들어 대형 산불을 예방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방화림이 무엇인지, 우리나라에서도 실현가능한 것인지도 궁금한데요?

[질문 9] 그런데, 산에 만들어진 길인 ‘임도'를 두고는 말들이 많습니다. 산불 차단선 역할을 할 것이다. 아니다 효과 없이 오히려 바람길 역할에 산사태 우려가 클 것이다. 이런 얘기들이 나오는데, 임도 조성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9-1] 이번 경북 산불의 경우, 산불 진화 차량이 임도가 없어 화재 진원지에 접근조차 하지 못해 피해를 한층 키웠다는 지적이 나왔는데요. 임도가 없어 진화대원들이 15㎏에 달하는 등진펌프를 지고 직접 현장까지 걸어 올라갔다고 하고요. 화재 진화에 있어 임도의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10] 무엇보다 산불이 대형화되고 연중화하고 있는 만큼 산림청이 주도하는 신불 진화 체계 역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어떤 대응 체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보세요?

▣ 연합뉴스TV 두번째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https://bit.ly/3yZBQfA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

[뉴스잇] 산불 갈수록 대형화·상시화…근본적인 대책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Поделиться в: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

Скачать аудио mp3

Похожие видео

array(0) { }

© 2025 dtub. Все права защищены.



  • Контакты
  • О нас
  • Политика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Контакты для правообладателей: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