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수 규정 제도의 시원에 대한 일고」 ──“도성 내에 건설하는 좌소우목의 천자7묘⋅제후5묘 제도는 한나라 때 형성된 것이다” ──[논문 통째로 읽어드립니다(보이는 오디오 논문)]
Автор: 서정화의 지금고전
Загружено: 29 нояб.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113 просмотров
❝
유학의 비조이자 정치사상가 공자(孔子)가 나라 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를 들었는데, 그중 하나가 종묘(宗廟)에서의 일이었다.
종묘는 바로 ‘조상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라는 것이 고대로부터 알려졌던 상식이나 다름없었다.
그 고대가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 고대인지가 궁금해졌고, 우리가 알고 있어왔던 ‘종묘’가 과연 공자 당시의 그 ‘종묘’가 맞는 것일까?’를 의심하기 시작했다. 『논어』에서 보이는 공자 사상으로 보면, 공자가 귀신 제사에 열 올렸다는 기록은 전혀, 결코, 없기 때문이다.
의심과 궁금증을 풀어가기 위해 여행을 떠났다, 고대 경전의 갈피갈피 속으로.
❞
● 논문 제목 : 「廟數 규정 제도의 始原에 대한 一考 - 漢代와 戰國期의 廟數制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KCI급 / 상세 URL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 )
● 저자명 : 서정화
● 발행기관 : 대동문화연구원
● 간행물명 : 『대동문화연구』 102(발행일자 2018.06.)
((※ 본 영상에서 편집한 논문 면은 가용 활자체로 재구성한 것임))
※ 논문의 원문 파일(무료다운로드) : www.kci.go.kr(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 ---- ---- ----
❍ 보조 자료-1 (저서) :
⦁ 『주나라의 궁, 종묘와 명당』(한국학술정보, 2017)
❍ 보조 자료-2 (KCI급 논문) :
⦁ 2016.03, 「진대 이전 종묘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소고 - 고문자에서의 상형과 주대의 궁묘유적지 조사 및 문헌적 사례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79, 한국동서철학회)
⦁ 2016.03, 「고대 종묘제도의 좌조우사와 전묘후침 설에 대한 일고찰」(『동양고전연구』 62, 동양고전학회)
⦁ 2016.08, 「주대의 명당과 벽옹에 대한 소고 - 선진시기 종묘의 본원적 기능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 -」(『동양철학연구』 87, 동양철학연구회)
⦁ 2016.09, 「은주대 상제 관념과 주대 체(禘) 의례의 관련성 및 그 변화 양상 - 선진시기 종묘 의례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 -」(『대동문화연구』 95,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2016.12, 「주대 종묘의 기능과 그 의미에 대한 유교경전의 이해」,(『동서철학연구』 82, 한국동서철학회)
⦁ 2018.05, 「『춘추』 경문에서의 묘⋅궁 언급을 통한 주대의 그 쓰임 사례 일고찰 - 주대의 묘수제(廟數制) 실재 여부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1/2】 -」(『한국철학논집』 57, 한국철학사연구회)
⦁ 2018.06, 「『좌전』에서의 묘 · 궁 언급을 통한 주대의 그 쓰임 사례 일고찰 - 주대의 묘수제 실재 여부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2/2】 -」(『유교사상문화연구』 72, 한국유교학회)
❍ 보조 자료-3 (일반 논문) :
⦁ 2016.08, 「주대의 국도가 풍수지리 초기이론에 미친 영향」(『동방문화와 사상』 1,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2017.08, 「주대의 종묘 - 주대의 종묘에 대한 후론 및 종묘 소유의 신분적 한계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동방문화와 사상』 3,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묘수 규정 제도의 시원에 대한 일고」 ──“도성 내에 건설하는 좌소우목의 천자7묘⋅제후5묘 제도는 한나라 때 형성된 것이다” ──[논문 통째로 읽어드립니다(보이는 오디오 논문)]](https://ricktube.ru/thumbnail/laEM2-XTLdg/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