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베 수의·국화 영정’은 일제 잔재…“전통 장례문화 복원” / KBS뉴스(News)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31 дек. 2018 г.
Просмотров: 23 420 просмотров
고인에게 삼베 수의를 입히고 국화로 헌화하는 장례 문화에 익숙하실 텐데요,
우리의 전통문화가 아니라, 일제가 남긴 흔적이라고 합니다.
문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고인의 몸에 입히는 삼베 수의.
우리의 전통 장례 문화로 알고 있지만 사실이 아니라는 게 최근의 연구 결과입니다.
삼베 수의는 일제강점기인 1934년 조선총독부가 의례준칙을 통해 강권했습니다.
["의례준칙에서 의미하는 포라는 것은 바로 대마, 삼베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생전에 고인이 입었던 가장 좋은 옷, 화려한 비단옷을 수의로 썼습니다.
왕은 곤룡포, 관리는 관복, 여성은 혼례복으로 입던 옷이 수의였습니다.
[최연우/단국대 전통복식연구소장 : "(가족들은) 죄스러운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가공하지 않은 가장 거친 옷을 입었던 것이고, 돌아가신 분들은 입을 수 있는 신분 내에서 허락된 가장 좋은 옷을 입는 것이 기본 예법이었습니다."]
고인을 추모하며 국화로 꾸민 장례식 영정도 전통이 아닌 일제의 잔재입니다.
1926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국장 당시 모습을 보면 국화 화환이 등장합니다.
[서해성/서울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총감독 : "현재까지 국화가 확인되는 건 26년도 순종 국장에서 보이고요, 앞에 보면 왼쪽에 쭉 화환이 쭉 있는데 한국은 화환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전통적으로."]
3.1 운동과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19년 새해.
아직까지도 우리의 생활 곳곳에 남은 일제의 잔재를 찬찬히 돌이켜볼 때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