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수능' 만든 국어영역 31번…포항지진 1년, 원인 못 밝히고 상처만 남아 / YTN 사이언스
Автор: YTN 사이언스
Загружено: 16 нояб. 2018 г.
Просмотров: 1 942 просмотра
[앵커]
화제의 뉴스를 골라 과학 기자의 시선을 분석하는 '과학 본색' 시간입니다.
스튜디오에 양훼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오늘 준비한 소식 어떤 건가요?
[기자]
지난 15일이었죠,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었는데, 올해 수능은 초고난도, 그리고 변별력이 높다 해서 '불수능'이라고 불렸는데요.
이렇게 불수능을 만든 결정적인 문제가 하나 있는데, 그게 바로 국어 영역의 31번 문제였습니다.
학생들은 물론 교사, 입시전문가들도 가장 어려운 문제라고 했는데요, 사실 과학 문제가 아닌 국어 문제를 푸는 게 조금 의아할 수 있겠지만, 과학적인 내용이다 보니 제가 준비해왔습니다.
[앵커]
저도 인터넷에서 이 문제를 봤는데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멘탈붕괴'라고 하는 멘붕이었다, 역대급 지문, 정신 차리니까 10분 남았더라 등등의 생생한 후기를 남겼더라고요.
저도 이게 국어 문제인지, 과학 문제인지 분간이 안 되더라고요.
[기자]
맞습니다. 문제를 읽어보면 수준 높은 독해력이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요.
그게 있다고 하더라도 지문이나 문제, 보기까지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리고 과학적인 배경지식이 없었다면 문제를 풀기 어려웠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앵커]
아직 확인하지 못한 시청자분들은 어떤 문제길래, 싶으실 것 같아요. 문제를 준비하셨죠?
[기자]
문제 같이 보시면서 설명하겠습니다.
[앵커]
(보기)를 참고할 때, [A]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문제에서 [A]는 보이지 않네요?
[기자]
원래 언어 문제 자체가, 기억하시는 분들 계시지만 지문이 있고, 거기에 달린 질문이 몇 개가 있잖아요, 사실 지문이 너무 길어서 준비를 안 했지만, 이 문제의 관련 내용은 서양의 우주론이 성립하는 과정과 그것을 중국이 받아들이는 과정을 설명한 비문학 지문입니다.
이 지문에서 전체적인 내용은 이건데, A 부분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만유인력의 법칙을 짧게 정리하고 가면 좋을 거 같아요.
첫 번째,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는 인력,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합니다.
그 힘을 알려면, 그 힘의 크기는 두 개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만유인력의 법칙은 지금 보시는 제일 밑에 있는 공식이 우리가 무슨 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한 번쯤은 본적이 있는 것 같은 만유인력의 법칙 공식이 완성되는 겁니다.
[앵커]
저도 읽어봤지만, (보기)가 말하고자 하는 건 뭔가요?
[기자]
여기부터 심하게 어려워져요, 최대한 쉽게 설명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우선, '질점'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요.
'질점'이라는 건 부피 없이 질량만 가지고 있는 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실제로는 존재할 수 없지만, 물리학적으로 공식을 만들 때 쓰는 용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보기) 속 그림이 나오는데, 이 그림을 가지고 설명하면 질점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외부의 질점과 천체가 서로 당기는 힘, 만유인력의 힘을 알려면 우선 천체를 같은 부피를 가진 조각, 양파 조각처럼 나눕니다.
그랬을 경우 각 껍질에서 질점을 당기는 힘을 모두 더하면 천체 중심에서 외부에 있는 질점을 당기는 힘과 같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금 어렵죠?
그래서 만유인력의 법칙이 아까 공식도 있었고, 질점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면 여기서부터 이제야 문제를 풀 수 있는 시작 단계가 되는 겁니다.
[앵커]
설명도 들었고, 저도 보기를 봤는데 여러 번 읽어 봐서야 이게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되...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