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츠
Автор: 조경과구들장 (팔공산조경과구들장)
Загружено: 6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6 910 просмотров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조경과구들장-c7t
귀농귀촌 생활 노하우 공유채널 입니다.
엔진톱 작업전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쳅스, 임업화가 없을 때 미끄럼방지용 아이젠, 안면보호대 귀마게 포함한 안전모, 안전장갑은 기본중에 기본입니다.
이것만 기본장착하시면 안전사고 90% 방어가 가능하다 확실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임업기계 엔진톱 안전수칙
엔진톱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알아야할 기본수칙 위험요인 2가지, 방호장치 5가지 기능, 작업자 안전수칙 9가지, 순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위험요인
1. Kick back 현상과 톱체인이 끊어져 튀어 오를 위험
2. 기계톱작업 중 미끄러져 넘어 지면서 기계톱에 닿을 위험
1. 안내판 끝부분이 단단한 물체 접촉하여 톱체인 반발력에 의해 작업자가 뒤로 튀어 오를 위험(Kick back 현상)- 톱체인이 끊어져 튀어 오를 위험
2. 경사진 작업장에서 기계톱작업중 미끄러져 넘어 지면서 기계톱에 닿을 위험
방호장치 기능
1. 체인브레이크
2. 체인잡이
3. 후방보호가드, 가지치기 작업시 가지가 튀어 손을 다치는 것을 보호
4. 안전 스로틀레버, 우발적인 톱체인의 작동위험을 방지
5. 체인보호집, 기계톱 운반시 톱날에 의한 작업자 부상
작업자 안전수칙
1.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바람의 방향이 바뀔 때에는 작업을 중지할 것
2. 기계톱 연속운전은 10분을 넘기지 말고. 이동시에는 반드시 엔진을 정지할 것
3. 사다리 위에서 작업 금지, 작업자의 어깨높이 위로는 기계톱을 사용하지 않는다.
4. 절단작업시 톱날을 빼낼 때에는 비틀지 말 것
5. 기계톱을 시동할 때에는 톱날 주위에 3m이상 이격거리 유지
6.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지 않으며, 넘어지거나 중심을 잃지 않도록 견고하게 서서 작업한다.
7. 절단시 목재 이외의 금속, 못, 철사 등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것
8. 나무를 자를 때에는 항상 최고속으로 작업하는 것이 안전하다
9. 항상 안전한 복장, 안면보호 및 머리보호용 안전모, 귀마개 등 안전보호 장구를 착용함
기계톱 점검요령
1.브레이크밴드의 손상 여부 점검, 체인브레이크와 클러치드럼사이에 톱밥, 송진 및 먼지등을 떨어낸다. 먼지나 마모가 체인브레이크의 작동을 둔화시킬 수 있다.
-체인브레이크밴드가 마모되지 않았는지(최소 0.6mm 이상)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여야 한다.
2. 전방 손 보호가드 작동점검
전방 손 보호가드를 앞뒤로 밀고 당겨서 클러치 커버가 제대로 작동 하는지 확인한다.
3. 관성브레이크 작동 점검
가이드바가 그루터기에 부딪히는 순간에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야 정상이다.
4. 스로틀레버 안전장치
공회전 상태에서 스로틀레버 안전장치를 놓았을 때 스로틀레버가 작동 하는지 확인한다.
-시동을 걸고 최고속으로 작동했다가 스로틀레버를 놓았을 때, 톱체인이 멈추고 돌지 않는가를 점검한다.
ㆍ 만일 공회전 상태에서 톱체인이 돈다면 L조정 볼트를 점검하여야 한다.
5. 제인잡이
체인잡이가 손상되지 않고 톱의 몸체에 잘 부착되어 있는가를 점검한다.
6. 정지 스위치
시동을 걸었다가 정지 스위치를 정지 위치에 놓았을 때 엔진이 멈추는 가를 확인한다.
재해사례 및 예방대책
1. 재해사례 1- 개요 : 천연림 보육사업장에서 기계톱으로 벌도목을 자르던중 벌도목이 잣나무 조림지로 넘어지려 하자 잣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벌도목을 반대 방향으로 넘기는 순간 재해자쪽으로 넘어지 면서 좌측 다리에 기계톱이 닿아 부상을 입은 재해임
-대책 : 벌목시 벌도목을 넘길 방향에 장애물을 제거 해야하며 작업자 이외는 작업반경내에 출입을 금지시켜야 함
2. 재해사례 2
-개요 : 기계톱을 이용해 벌목작업중 기계톱이 벌도목에 끼어 톱을 빼내기 위해 동료작업자가 나무를 밀어 주는 순간 기계톱이 닿아 부상을 입은 재해임
-대책 : 기계톱 날이 나무에 끼였을 때에는 지렛대를 이용하여 빼내도록 하고 큰나무 절단시 톱날이 나무에 끼지 않도록 절단면에 쐐기를 삽입하여 작업을 하여야 함
3. 재해사례 3
-개요 : 벌목작업장에서 기계톱으로 벌목작업중 상부 에서 벌도된 나무가 굴러와 재해자와 충돌하여 부상을 입은 재해임
-대책 : 벌도방향 주변에 다른 작업자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
안전모 - 안전모를 착용하여 물체의 낙하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방지 또는 경감
안면보호구 - 톱밥, 가시, 가지 및 기타 오염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면을 착용
재질은 철망보다는 프라스틱 제작품 사용
귀마개 - 기계톱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장기간 노출되면 난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스폰지 형태의 귀마개를 사용
중이염 등 귀가 아플 때는 귀덮개용 착용
보호장갑 - 기계톱 같이 진동공구를 사용하면 진동장해가 발생되므로 방진장갑을 착용
방진제는 고무의 탄성 이용한 특수고무판 제작품 사용
안전화 - 작업시 미끄러짐 또는 물체를 떨어뜨리거나 도끼, 낫 등과 같이 날카로운 것에 대한 찔림 방지용 안전화를 착용
1. 실린더 커버 실린더를 덮어주는 보호 커버
2. 공기 퍼지, 프라이머 초기 시동 시에 이 벌브를 반복해서 눌러 주면 연료통에서 카뷰레터 내부까지의 공기가 다 제거되고 그 자리에 연료가 채워기 때문에. 시동 로프를 당기면 즉시 카뷰레터 노즐에서 연료가 분출될 수 있게 됨. '프라이머' 란 준비한다는 뜻임
3. 스타트 리마인더 시동 거는 순서를 설명
4. 스타트/정지 스위치 이 스위치로 스파크 플러그로 가는 전기가 연결 또는 차단됨
5. 뒤 핸들 오른손 핸들
6. 정보와 경고 데칼 정보와 경고 설명판
7. 연료 탱크 연료가 주입되는 탱크. 여름에 가스압이 많이 차니 뚜껑을 열 때에 조심해야 함
8 카뷰레터 조절 나사들 L 나사: 쓰로틀이 절반 이하로 열렸을 때, 즉 저속(Low) 시의 연료 공기 혼합비를 결정하는 나사. 이 나사를 많이 풀어 놓으면 시동이 쉬우나 매연이 많이 발생.
H 나사: 쓰로틀이 많이 열릴 때 연료 공기 혼합비를 결정하는 나사. 이 나사를 많이 열면 공해가 심함. 적게 열면 엔진이 과열되고 출력이 약해짐.
T나사: 공회전 시의 쓰로틀 판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해 주는 나사. 쓰로틀 판이 열리면 공기 연료 주입량이 많아져서 rpm이 올라가고 이에 따라 체인이 공회전에서도 돌아 버릴 위험이 있음.
미국 유럽 등에서는 L나사나 H 나사를 많이 풀어 놓지 못하게 규제가 심함. 특히 L 나사는 공회전에서의 매연배출 규제와 직접 연관이 있음. 때로 이 규제 때문에 추운 지방에서는 시동이 잘 안 걸릴 수 있음. 이 경우에는 L나사를 조금 더 풀어주면 해결됨.
미국, 유럽 등에서는 L H나사를 못 돌리게 하는 경우가 많음. T 나사에 대한 규제는 없으나 이 나사는 시동과는 무관함.
9 시동 핸들 시동 시에 이 시동 핸들을 손으로 잡고 당겨서 저항이 걸리는 곳 부터 빠르게 30 - 35 cm 정도를 더 당겨주면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연소실에 폭발 조건 즉 산소와 연료 및 스파크의 동시 형성 조건이 성립되어 불이 붙고 폭발하게 됨.
10 시동 스타터 시동 핸들을 당기면 이 스타터가 크랭크샤프트를 돌려 줌
11 체인 오일 탱크 체인 오일을 넣어 주는 탱크
12 제품과 시리얼 번호 플레이트 제품의 모델명과 식별 번호가 써 있는 플레이트
13 앞 핸들 왼 손으로 쥐는 핸들. 이 것을 제대로 움켜쥐지 않으면 킥백으로 치명상을 당함
14. 앞 손 보호 가드 왼 손이 미끄러져 체인에 닿는 위험을 줄여 주면서 한 편으로 앞으로 밀어 주면 체인 브레이크가 걸리게 됨. 또는 킥백 시에 이 보호 가드가 먼저 왼 손에 닿아 체인 브레이크가 작동됨.
15 머플러 배기구로 부터 빠져 나오는 엔진의 소음과 불꽃을 차단해 줌. 배기가스의 방향도 작업자로 부터 안전한 쪽으로 돌려줌. 출력을 높이기 위해 머플러를 훼손하는 행위는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절대 하면 안 됨.
16 엔진톱의 체인 서로 마주 보는 칼날이 교대로 배열하며 고속으로 회전하여서 수 mm 만큼의 나무를 가루나 톱밥으로 훼손해가면서 나무를 절단해 냄
17 바 끝(팁) 스프로켓 여기에 체인이 걸려서 회전을 함
18 가이드 바 가이드 바의 홈과 스프로켓을 따라 체인이 진행함
19 스파이크 범퍼 두꺼운 나무를 벨 때에 이 스파이크를 나무에 꼽고 그 꼽힌 곳을 피봇 중심으로 하여 바를 회전시키면서 나무를 쉽게 자를 수 있음
20 체인 캐처 끊어져 버렸거나 궤도를 벗어난 체인이 되돌아 날아 오는 곳에 설치되어 체인을 캐치해 줌
21 체인 장력 조정 스크루(모델에 따라 다름) 체인은 처음 사용 후 길들어지면서 늘어나고 또 열과 장력을 받으면서 늘어 나므로 계속 조여 줘야 함. 이 조정 스크루로 조여 줌. 과다하게 조여주면 마찰이 심해져서 끊어질 위험도 증가하고 느슨하면 궤도를 이탈할 위험이 있음
22 클러치 커버(모델에 따라 다름) 클러치 커버 안의 클러치와 드럼을 통해 엔진의 회전력이 체인에 전달됨.. 엔진의 회전수가 3000 rpm보다 높아지면 클러치가 스프링의 수축력을 능가하는 원심력을 얻어서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이 클러치를 통해 클러치 드럼에 전달됨.
23 오른 손 보호 가드 오른 손 그립이 가지 등의 반동에 닿지 않게 보호해 주면서 한 편으로는 끊어져 날라오는 체인으로 부터 보호함
24 쓰로틀 방아쇠 쓰로틀 판의 개방 정도를 결정해 주는 방아쇠. 스프링이 있어서 방아쇠를 놓아주면 쓰로틀이 닫히는 방향으로 되돌아감. 단 이 때에 완전히 닫히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T 나사로 조정한 위치로 되돌아가서 엔진은 저속으로 공회전하게 됨
25 쓰로틀 록아웃 일종의 안전 장치로 쓰로틀 방아쇠를 당기려면 동시에 이 록아웃 버튼을 눌러줘야 함
26 클러치 커버(모델에 따라 다름) 클러치 커버 안의 클러치와 드럼을 통해 엔진의 회전력이 체인에 전달됨.. 엔진의 회전수가 3000 rpm보다 높아지면 클러치가 스프링의 수축력을 능가하는 원심력을 얻어서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이 클러치를 통해 클러치 드럼에 전달됨.
27 체인 장력 조절 휠 이 휠을 돌리면 가이드바가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