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한 석탄 발전…“중국 등 아시아에 집중” / KBS 2024.04.23.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23 апр.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602 просмотра
어제(22일)는 석탄 사용에 따른 지구 온난화 등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한 '지구의 날'이었습니다. 석탄을 쓰는 화력발전은 국제사회의 목표와 달리 좀처럼 줄지 않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그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입니다. 이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완공돼 조만간 상업 운전에 들어가는 석탄 화력발전소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1년, 2050년까지 석탄 발전을 중단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현행 전력수급 계획대로라면 이 발전소는 2054년까지 운영할 수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경제적 이유 등을 들어 석탄 발전 감축에 소극적입니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새로 운영을 시작한 석탄 발전소의 발전 용량은 69.5기가와트.
반면, 폐기된 용량은 21.1기가와트에 그쳤습니다.
[배여진/기후솔루션 조직소통팀장 : "재생에너지(발전소)를 건설하는 것보다 석탄 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이 훨씬 더 현재 상태에서는 유지하기가 쉽기 때문에…"]
이러다 보니 지난해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374억 톤으로 전년보다 4억 천만 톤 늘었는데, 증가분 가운데 65% 이상이 석탄 발전에서 나왔습니다.
석탄 발전을 늘린 거로 집계된 국가는 10개국, 중국이 가장 많이 늘었고 인도네시아와 인도, 일본 등 순인데, 한국도 포함돼 있습니다.
[송용현/기후싱크탱크 '넥스트' 부대표 : "(현재 추세대로라면)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따라잡지 못해서 다시 한번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 결과 2050년 탄소 중립 달성에도 실패하고 (온난화 제한) 1.5도 목표를 지키지 못하게 됩니다."]
기후환경단체들은 탄소 중립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 지구적 약속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석탄 발전 감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지구의날 #석탄 #탄소중립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