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함수
Автор: 현대GO
Загружено: 18 нояб.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179 просмотров
수학 시간에 조사했던 내용의 한계를 보완할만한 내용을 추가하여 심화하고, 사회C에서 배웠던 생애 주기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였습니다.
아래는 대본입니다.
---------------------------------------------------------------------------------------------------------------------------------------------------------
수학 시간에 수학자 및 경제학자인 케인즈의 소비함수에 대해 조사하면서, 그 한계점을 발견했고, 한계점을 보완한 현재의 이론이 궁금해져 조사를 진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를 이해하기 쉽도록 영상으로 제작해 보았다.
1. 케인즈 소비함수
케인즈는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 없이 많으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소득이며 따라서 소비지출은 소득수준에 주로 의존한다는 단순한 가정에 의거하여 소비함수를 도입하였다. 케인즈는 대공황기에 활동했던 경제학자로 미국의 실업률이 25%까지 치솟는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여러 한계점이 존재하게 된다.
먼저, 그 당시는 1936년으로 대규모 통계적인 조사가 불가능했다. 또, 세계2차대전후 소득이 증가하였으나 저축율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다시 말해, 케인즈의 소비함수는 대공황 같은 특수 상황에서만 적용가능하며, 안정적인 경제 상황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케인즈의 소비함수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래프의 시작점이 0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소득과 관계없이 항상 소비해야 하는 필수품이 있다. 최소한의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 지출액만큼 시작점을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올리고 시작하는 것이다. 또 한계소비성향과 같은 기울기로 증가함수를 그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소득에 따라서 소비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평균적으로 소득이 증대됨에 따라 소비를 증가시키나 소득이 증대된 만큼만 소비를 증가시킨다고 가정했기에 한계소비성향은 양의 값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월급이 늘어나면 옷을 여러 벌 사거나 전자제품, 자동차 등을 더 고급으로 구매하게 마련이다. 월급이 1원 증가할 때 소비가 늘어나는 비율을 한계소비성향이라고 하며 케인스는 한계소비성향이 0과 1 사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래프는 우상향의 모양을 보인다.
이러한 케인스의 '절대소득가설'에 따르면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소비는 그것보다 적게 늘어나기 때문에 평균소비성향(전체 소득 대비 소비지출의 비율)은 감소해야 한다. 그러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오히려 소득 대비 지출 비율은 일정하게 나타나면서 케인스의 소비이론이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현대에는 케인즈의 가설이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항상 소득가설과 생애 주기가설이 존재하는데, 이 중 나는 사회C 시간에 배웠던 생애주기 가설에 대해서 더 자세히 탐구해보았다. 생애주기 가설이란 소비가 현재 소득이 아니라 일생에 걸쳐 획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생애 소득에 의해 결정이 되기 때문에 소비수준이 현재 절대 소득의 변화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이론입니다. 모딜리아니는 가계에서 소득이 인생에서 일정 기간(15~65세)에만 발생하는 반면, 소비는 매년 비슷한 수준으로 하고자 함을 지적했습니다. 사람들은 한번 늘어난 소비수준을 줄이는 데 큰 고통을 느끼기 때문에 여윳돈이 있더라도 그때 다 써버리지 않고 소비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저축하는 성향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은퇴 후 소득이 없어질 것을 대비해 가계는 저축을 하게 되는데, 평생에 걸쳐 모으게 되는 재산을 인생에 걸쳐 골고루 나누어 소비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이에 따라 가계의 소비함수를 다시 설정하면
1)축적한 재산을 일생 동안 분할하여 사용하는 부분과
2)재직 기간(약 40년) 동안 벌게 될 소득을 생존 기간(약 70년)에 맞춰 분할하여 사용하는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이럴 경우 한계소비성향은 케인스와 유사하게 나타나면서도 소득이 증가할수록 축적하는 재산이 함께 늘어나기 때문에 평균소비성향은 일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앞으로 소득이 커질 것을 예상하기 때문에 소득보다 더 높은 소비수준을 유지하여 차입한 돈으로 소득 이상의 소비지출을 하게 됨.
낮은 소득수준과 음(-)의 저축으로 평균소비성향이 높게 나타남.
중장년기에 소득이 높아지면 이를 모두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은퇴 후를 대비해서 일부를 저축하게 됨. 높은 소득수준과 양(+)의 저축으로 평균소비성향이 낮게 나타남.
노년기에는 직장에서 은퇴 후 중장년기에 모아둔 돈으로 종전과 비슷한 소비수준을 유지하게 됨. 낮은 소득수준과 음(-)의 저축으로 평균소비성향이 높게 나타남..
여기까지 현대의 소비함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