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북한의 핵 전략...핵 보유국 인정 요구 / YTN (Yes! Top News)
Автор: YTN
Загружено: 15 мая 2016 г.
Просмотров: 680 просмотров
[앵커]
북한이 이번 당 대회를 통해 자신들은 사실상의 핵보유국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1990년대 중반 이후 동북아의 핵심 이슈였던 북한 핵 문제의 성격이 바뀐 만큼, 그에 따른 우리의 대응전략도 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북한이 핵 개발에 착수한 가장 큰 이유는 구소련의 붕괴와 공산권 몰락으로 인한 자신들의 체제가 위협받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1993년 이른바 제1차 북핵 위기가 발발했고, 미국은 영변 핵시설 폭격을 검토하는 등 한반도에는 일촉즉발의 위기감이 감돌았습니다.
당시 북한은 핵 문제 해결을 통해서 미국으로부터 체제보장을 얻어내고 정상국가로 대우받기를 원했습니다.
이러한 북한의 의도는 1994년 10월 북한과 미국이 체결한 제네바 기본합의문에 고스란히 담겼습니다.
이후 지난 2000년 조명록 북한군 총정치국장이 워싱턴을 방문했고,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도 이러한 노력의 하나였습니다.
이 무렵 김정일은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 필요성을 인정하기도 했습니다.
16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어떻게 됐을까?
핵 개발을 통해 북한이 원하는 것은 더 이상의 경제적 보상이 아니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그보다는 자신들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고, 핵보유국으로서의 위상과 체제에 대한 보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 북한 노동당 위원장 : 경제 건설과 핵 무력 건설을 발전시킬 데 대한 전략적 노선을 항구적으로 틀어쥐고 자위적인 핵 무력을 질량적으로 더욱 강화해나갈 것입니다.]
그러면서 주한미군의 철수를 언급했습니다.
만약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거나 자주권을 침해하면 핵 개발을 계속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초기의 핵 개발 전략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전략변화인 셈입니다.
사실상 핵 무장을 이룬 북한의 군사위협에 대한 우리의 대응체제를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YTN 김주환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605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