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보틀의 내리막길?
Автор: 제로투원이 돈 버는 이야기
Загружено: 29 янв.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6 220 просмотров
블루보틀, 한국에서 어떻게 성장하고 있을까?
블루보틀의 핵심 브랜드 키워드는 ‘환대’라고 합니다.
설립자 제임스 프리먼은 일본의 커피 문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요.
특히, 바리스타가 고객과 교감하며 원두 선별, 추출,
감상의 전 과정에서 정성을 다하는 일본의 ‘키사텐(kissaten)’ 문화가
블루보틀 매장 운영 방식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합니다.
즉, 커피를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카페에서 경험하는 감정의 총체로 바라보는 것이 블루보틀의 철학입니다.
이러한 철학은 한국 소비자들에게도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2019년 블루보틀이 한국에 첫 매장을 오픈하던 날,
수많은 소비자들이 긴 줄을 서며 기다렸던 이유이기도 하죠.
모두가 그 감성에 열광했고, 직접 찾아가 사진을 남겼습니다. 📸
그러나 한국 진출 6년 차, 현재의 성적표는 아쉽습니다.
📉 블루보틀, 한국에서의 실적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 2021년 영업이익: 27억 원
📉 2022년 영업이익: 23억 원
📉 2023년 영업이익: 19억 원 (전년 대비 16.6% 감소)
📉 2023년 당기순이익: 7억 6,600만 원
(전년 13억 5,300만 원 대비 43.4% 감소)
출점은 지속되고 있지만,
매출 성장세는 둔화된 모습입니다.
🏡 블루보틀의 출점 전략은?
📍 첫 번째 전략: 핫플레이스 선점
블루보틀은 2019년 ‘한국의 브루클린’이라 불리는 성수동에 1호점을 열었습니다.
그 후 삼청동에도 매장을 오픈했죠.
당시 젠트리피케이션이 한창 진행되던 지역이었고,
MZ세대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한 전략이었습니다.
📍 두 번째 전략: 오피스 상권 공략
핫플 중심의 전략에서 벗어나
**직장인 밀집 지역(역삼, 광화문)**으로 매장을 확대했습니다.
특히, 직장인들이 커피를 많이 소비하는 오피스 상권에 집중했죠.
📍 세 번째 전략: 백화점·몰 입점
이후, 수익성을 고려한 전략으로
희소성을 유지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대중성이 있는 백화점과 몰에 입점하기 시작했습니다.
📍 네 번째 전략: 제주·부산 핫플 공략
제주도와 부산 등 관광객이 많이 찾는 핫플레이스에도 출점하며
다양한 소비자와 접점을 늘려갔습니다.
현재도 매장 수를 천천히 늘려가고 있지만,
초반의 폭발적인 관심과는 달리
성장세가 정체된 모습입니다.
❓ 블루보틀이 성장하지 못한 이유는?
☕ 가격 때문일까?
사실, 단순히 가격이 문제는 아닙니다.
🔍 카페는 커피를 파는 게 아니라 공간을 판매한다는 말이 있죠.
특히 한국에서는 ‘공간’이 카페 선택의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하지만 블루보틀의 매장은 다릅니다.
✔️ 콘센트 없음 🔌
✔️ 와이파이 없음 📶
✔️ 미니멀한 공간 디자인
이러한 특징이 한국인의 카페 이용 방식과 잘 맞지 않는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한국에서 카페는
☕ 커피 한 잔 마시며 충전하는 공간
💻 미팅·회의·공부하는 공간
🗣️ 친구들과 수다 떠는 공간 등
단순한 음료 소비 이상의 개념으로 이용됩니다.
하지만 블루보틀은 커피에만 집중하는 공간을 만들었고,
이 때문에 재방문율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 블루보틀, 앞으로의 방향은?
현재 블루보틀은 꾸준히 출점을 이어가고 있지만,
초반의 인기를 계속 유지하지는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제는 단순한 감성 마케팅을 넘어,
한국 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블루보틀이 한국에서 더 성장하려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 구정 연휴 즐겁고 건강하게 보내시고,
다음 영상에서 찾아뵙겠습니다! 😊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