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문은 여기 터치하세요 | 미드 영어 표현 카드 | 간격 복습 2276
Автор: 안키 영어 anki english
Загружено: 21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31 158 просмотров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Better late than never
▪ 직역:
(문자적 의미): "늦더라도 안 하는 것보다 낫다"
better (더 나은), late (늦은), than (~보다), never (결코 아닌)
(관용적 의미): 전혀 하지 않는 것보다는 늦게라도 하는 것이 더 낫다는 의미
▪ 의역:
1. 늦더라도 하는 게 낫다
2. 뒤늦게라도 하는 편이 낫다
3. 지금이라도 하는 게 다행이다
4. 이제라도 하는 게 좋다
5. 늦더라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발음: [ˈbɛt̬.ɚ leɪt ðən ˈnev.ɚ] (베러 레잇 던 네버)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무언가를 너무 늦게 했을지라도, 아예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다는 뜻
▪ 뉘앙스: 너그러움과 현실 수용의 태도, 늦었더라도 행동을 취하는 것을 지지함
▪ 사용 맥락:
누군가가 늦게라도 무언가를 했을 때
오랜만에 연락, 답장, 방문, 선물 등을 했을 때
핑계나 변명 없이도 넓은 마음으로 받아들일 때
늦은 변화나 개선을 인정할 때
【 유래/역사,기원,어원 】
"better late than never"는 고대 로마 격언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라틴어 "potiusque sero quam numquam"(차라리 늦는 게 결코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이 고전 문헌에서 등장하며,
영어권에서는 14세기 제프리 초서(Geoffrey Chaucer)의 『캔터베리 이야기(The Canterbury Tales)』에서
"For bet than never is late."라는 형태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후 16~17세기 영국 속담집과 문학에서 "better late than never"라는 형태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1539년 존 헤이우드(John Heywood)의 속담집에도 같은 의미의 구절이 등장합니다.
이 표현은 오랜 세월 동안 “늦더라도 결국 하는 것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는 긍정적, 격려의 메시지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대에는 일상 대화, 비즈니스, 교육, 자기계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의미의 발전 】
고대: 라틴어 속담에서 유래, “차라리 늦는 게 결코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는 교훈
중세~근대: 초서, 헤이우드 등 영문학과 속담집을 통해 확산
현대: 늦은 시도, 결과, 행동에 대해 긍정적, 격려적 메시지를 전하는 대표적 관용구로 정착
【예문과 활용】
▪ 대화 예문
A: "Sorry I’m late."
(늦어서 미안해.)
B: "Better late than never."
(그래도 온 게 어디야.)
A: "I just started learning English at 40."
(나 40살에 영어 공부를 시작했어.)
B: "That’s great! Better late than never!"
(잘했어! 늦더라도 안 하는 것보단 낫지!)
A: "I finally submitted my assignment."
(드디어 과제 제출했어.)
B: "Better late than never! At least you finished it."
(늦었어도 안 한 것보단 낫지! 최소한 끝냈잖아.)
A: "I finally finished the book you gave me."
(네가 준 책을 드디어 다 읽었어.)
B: "Well, better late than never."
(그래도 읽긴 했네.)
▪ 기초 예문
"I just got into fitness—better late than never!"
(이제야 운동을 시작했어. 그래도 안 하는 것보단 낫지!)
"He finally apologized after a week. Better late than never, I suppose."
(그는 일주일 후에야 사과했다. 아예 안 하는 것보다는 낫겠지.)
▪ 실전 표현
"She started saving money in her 50s, but better late than never."
(그녀는 50대에 저축을 시작했지만, 안 하는 것보단 낫다.)
"She started college at 40, but better late than never."
(그녀는 마흔에 대학을 시작했지만, 안 하는 것보다 낫다.)
"I sent her a birthday card a week late, but better late than never."
(생일 카드가 일주일 늦었지만, 그래도 안 보내는 것보단 낫다.)
▪ 유사 표현
"At least you did it"
(그래도 결국 했잖아)
"Late is better than never"
(늦는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
▪ 반대 표현
"Miss the boat"
(기회를 놓치다)
"Now or never"
(지금이 유일한 기회이다)
【 주의할 점 】
▪ 자주 혼동하는 표현 or 비교 표현:
"Too little, too late"은 시기적으로 너무 늦고, 양적으로도 부족한 대응을 비판하는 표현으로,
긍정적인 "Better late than never"와 의미가 정반대
유사 표현:
"It's never too late to start" – 시작하기에 늦은 때란 없다
"Better to do it late than not at all" – 표준 속담은 아님 → 비슷한 의미의 비공식 표현
▪ 상황별 주의:
-공식적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자칫 가볍게 보일 수 있음
→ 이메일, 회의 등에서 사용할 땐 친근한 관계 내에서 쓰는 것이 좋음
-자기 합리화처럼 들릴 수 있으므로, 자신의 실수에 쓸 때는 책임 회피처럼 보일 수 있음
-상대방의 늦은 행동을 너그럽게 받아들이는 맥락에서 매우 적절
-문어체보다는 구어체로 자주 사용되며, 미국·영국 모두에서 매우 흔한 일상 표현
▪ 실수 예방 :
❌ "Better later than never" → 'later'는 부사, 속담에는 형용사 'late' 사용이 정확
❌ "Better late than nothing" → 속담 구조 자체가 틀림. 'never'는 '전혀 하지 않음'이라는 개념을 표현함
✅ 정확한 표현: "Better late than never"
#영어회화 #미드영어 #영어표현 #영어공부
#영어쉐도잉 #영어듣기 #영어 #숙어
#기초영어 #쉬운영어 #미드 #관용구
#생활영어 #관용어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