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다크호스들의 사고방식 4요소 (다크호스 - 토드로즈, 오기 오가즈)
Автор: 불새맨 Bul Sae Man
Загружено: 1 окт. 2020 г.
Просмотров: 3 174 просмотра
다크호스(Dark Horse)
저자 : 토드 로즈, 오기 오가스
출판사 : 21세기북스
미국의 독립선언서 전문의 첫 번째 문장은
“우리는 다음을 자명한 진리로 받아들인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고
창조주로부터 양도할 수 없는 생명권, 자유권
행복의 추구권을 부여 받았다.“라고 쓰여있다.
지금 당신은, 행복하고,
충족감을 느끼며 살고 있는가?
'목적지를 의식하고 열심히 노력하면서 끝까지 버텨라’
(Know your destination, work hard, and stay the course)’ 라는 말을 많이 들었을 것이다.
이 메시지가 성공한 삶을 일구는 가장 확신한
표준적인 전략으로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 되어
성공한 삶을 위해선 모두 이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러한 표준 공식에 따르지 않고 성공한 사람들이 있다.
역경을 딛고, 갑자기 혜성처럼 등장해,
자신만의 특유한 방식으로 성공한 사람들
우리는 그들을 다크호스라고 부른다.
우리 사회는 이런 다크호스들에게 신경도 쓰지 않다가
그들이 성공을 이루고 나서야 틀에 박히지 않은 성공담에
환호하고 감동하고 열광을 한다.
당신도 다크호스가 되고 싶다면 영상을 보고
소개할 책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오늘 소개할 책은 하버드 교육대학원 개개인학 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평균의 종말 저자 토드 로즈와
개개인학 연구소의 총괄인 오기 오가스의 공저
“다크호스”이다.
다크호스(dark horse)는 1831년 소설 ‘젊은 공작 The Young Duke’의 주인공이 경마에서 돈을 걸었다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dark, 잘 알려지지 않은) 말이
우승하는 바람에 큰돈을 잃는 대목에서 나온 말로
다크호스는 표준적 개념을 따른 승자와 거리가 있어
주목을 받지 못했던 뜻밖의 승자를 지칭한다.
20세기는 산업화로 대량생산을 위해
조립라인 등 작업장의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노동자 육성을 위한 표준화 교육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 사회가 정한 표준화된 방법을 따라야 성공할 수 있으며, 표준에 적응하지 못하면
낙오자, 괴짜, 비정상으로 낙인 찍혔다.
그러나 현재는 넷플릭스나 아마존이
개인의 취향에 잘 맞을 만한 영화나 책, 제품을
섬뜩하도록 정확하게 추천하는 세상이 되었다.
유튜브, 개인 맞춤 검색엔진, 개인 맞춤형 뉴스서비스,
페이스북, 트위터가 일상화 되고
이 신기술의 공통된 특징은 ‘개인화(Personalization)’이다.
즉 현재는 더 이상 표준화가 아닌
개개인성(individuality)이 중요한 개념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성공에 대한 사고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표준화된 성공방식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성공을 이룬
다크호스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그 것은 그들은 모두 충족감(fulfillment)을 느끼며
산다는 것이다.
그들은 현재의 자신에게 자부심을 느끼면서
자신이 하는 일에 깊이 몰입하고 있다.
다크호스들은 의미 있고 보람찬 삶을 살고 있다.
표준화시대는 우수성을 얻기 위해 힘쓰면
충족감이 뒤 따라 온다고 강요해 왔지만
다크호스들은 자신만의 일에 깊이 몰입하면서
충족감을 느끼고, 그 결과 우수한 경지에 이르렀다.
다크호스들은 개인화 시대에 잘 들어맞는
성공의 정의를 제시하며,
개인화된 성공이란 충족감과 우수성을
모두 누리는 삶이다.
다크호스들은 대체로 갈림길에 직면해서 일직선의 곧은길(Straight Path)을 버리고 구불구불 굽은길(Winding Path)로 들어서는 계기를 맞는다.
그들은 갈림길에 이르기 전까지는
사회에서 설계한 행로를 대체로 생각없이 따라갔다. 그러다 새로운 신념에 자극을 받은 터닝포인트에서
가장 충족감에 이를 것 같은 가능성을 기준으로
선택을 내렸다.
다크호스들의 구불구불 굽은 여정은 저마다 다르지만
그 여정의 첫걸음은 하나같이 똑같다.
바로 충족감을 우선시하려는 결심이다.
다크호스들은 결정할 때 얼마나 돈벌이가 될지
어느 정도나 실력을 쌓게 될지를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그보다는 자신의 개개인성과 잘 맞는 기회를 포착하여
그 기회를 붙잡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남들이 강요하는 자아상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자아상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
꾸준히 이런 식으로 결정을 내리면서
부단히 우수성을 키워갔다.
다크호스들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진정으로 원하는 일을 찾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찾아 실행하며
결국 원하던 삶을 이뤄냈다.
남들이 보기에만 좋은 삶이 아니라
내면의 충족감이 가득한 삶이다.
다크호스가 되고 싶은가?
다크호스형 사고방식의 4대 요소를
우리의 삶속에 대입해보자
1. 미시적 동기 깨닫기
충족감을 얻고 싶다면 남들이 강요하는 열정이 아니라 당신의 항해에서 순풍을 타게 할 열정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동기는 꼭 거창하거나 위대할 필요는 없다.
자신이 정말 좋아하고 가장 중요한게 무엇인지
깨닫는 것이면 된다.
자신이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한지를 알아야 한다.
진정한 동기와 일치하는 활동을 하면
인생행로는 흥미진진하고 만족스러워 진다.
그래서 미시적 동기 깨닫기가 다크호스형 사고방식의
첫 번째이자 중요한 요소이다
사소하지만 정말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다.
32
2. 선택 분간하기
선택은 개개인성을 실행으로 옮기는 일이며
열정을 목표로 전화시키는 수단이며 적극적 행위다
선택의 자유가 있으면
자신의 기회를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심지어 아무도 주목하지 못할 만한
기회들까지도 가능해진다.
하지만 고르기는 제공된 선택지에서
그 중 하나를 고르는 수동적 행위이며
이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기관에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다.
우리는 선택과 고르기를 구분해야 한다.
배우고, 일하고, 살아갈 방법을
스스로 선택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다크호스들은 자신의 진정한 미시적 동기들을 바탕으로
개개인성에 적합한 선택을 했다.
그들은 무모하게 위험을 감수한 것이 아니라
적합한 선택을 한 것이다
자신을 이해하고 내린 선택은 결국 좋은 선택이 된다
다크호스들은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의미를 깨닫은 뒤
과감하게 행동에 나섰고 최고의 보상을 받았다.
다크호스들은 단순히 열정을 따르지 않는다
자신의 미시적 동기를 이해하고 활성화해서
열정을 설계한다.
그들은 선택에 전력을 기울이며
선택을 애매하게 얼버무리거나 회피하지도 않고,
시험 삼아 해보는 식으로 가볍게 다루지도 않는다
다크호스들은 특정 방향에 열정을 쏟기 때문에
과감하게 행동한다.
과감하게 행동할 때마다
‘이것이 내가 나아가려는 방향’임을
세상에 분명히 알리는 것이다.
3. 전략 알기
우수한 실력을 키우기 위한
가장 좋은 전략 같은 것은 없다.
자신에게 가장 좋은 전략만 있을 뿐이다.
자신에게 잘 맞는 전략을 찾아내는 것이
곧, 우수성을 획득하는 열쇠다.
최고의 전략은 자신의 장점에 알맞은 공부법과 훈련법, 학습체계를 기본으로 삼는 것이다.
하지만 장점은 내재된 실체가 없기 때문에
성찰을 통해 파악하기 어렵고 불분명하다.
자신의 장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천과 행동하는 방법밖에 없다
자신의 전략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처절한 실패를 각오해야 한다.
또한 실패를 기꺼이 감수해야 한다
실패는 우수성를 키우는 과정에서 필수요소이다
실패는 불분명한 장점의 숨겨진 윤곽선을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실패를 통해 '이 방법이 나에게 잘 맞을까?',
'이 방법이 나의 발전에 유용할까?',
'이 실패를 통해 다음은 어떻게 해야 할까?‘
등의 질문들을 자신에게 해봐야 한다.
4. 목적지 무시하기
다크호스들은 목적지를 무시해도
목표를 무시하지 않는다
목적지는 다른 누군가의 목표관에 응해
따라가는 지향점이며,
대체로 표준화된 기회제공 기관에서 정해놓은 것이다.
항상 변화는 필연적으로 일어난다
목적지로 가는 긴 과정 중에 자신의 동기는 물론
목적지 자체가 바뀔 수 있으며
세상도 변해있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목표는 언제나 개개인성을 근원으로
자신의 적극적 선택으로 세운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고
단기 목표를 추진하면서
더 좋은 전략이나 기회가 보이면
목표를 수정하는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더 높은 곳으로 한걸음 한걸음 올라가는 것이다.
열정과 목표, 성취감의 설계에 계속 집중하면
언젠가 개인적 우수성의 정상에
오를 거라는 자심감도 생긴다.
충족감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획득해야만 한다.
개인은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으며
자신의 장점을 발전시키고
맞춤 개인화 전략을 사용해
사회가 만든 전통적인 성공방식이 아닌
비전통적인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다
당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싶다면
당신이 가장 관심 있는 일을 더 잘하면 된다.
누구나 뭔가에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누구나 다크호스가 될 수 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