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종과 화엄종 어떻게 신라에 전래 되었는가? [자현스님의 붓다로드 115회_001]
Автор: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Загружено: 23 июл.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6 858 просмотров
중국 화엄종을 개창한 법장(法藏)이 체계화한 사상인데, 화엄종 사상 내에 법상종 사상을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성상융회에 관하여 균여의 업적은 '주측(周側)'을 주장하여 의상과 법장의 화엄 사상을 통합합니다.
즉, 의상에 뿌리를 두는 화엄종 사상에, 법장에 뿌리를 두는 중국 화엄종 사상을 통합함으로써, 중국 화엄종의 성상융회 사상을 한국 화엄종에 도입한 것 입니다.
유가종은 법상종(法相宗)이 호법논사(護法論師)의 유식만을 최상의 진리라고 고집한 것과는 달리 원측법사는 안혜논사(安慧論師)이 유식을 발하여
모든 학설을 종합적으로 수용하였다. 원측법사는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등 많은 저술을 하여 한국과 중국의 유식학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둔윤법사(遁倫法師)의 『유가론기(瑜伽論記)』,태현법사(太現法師)의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등에도 원측의 유식학이 많이 인용됩니다.
이는 법사의 유식학이 신라불교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신라 이후 유식의 전통들이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자현스님 #붓다로드 #신라불교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https://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BTN 붓다회 가입
https://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1855-0108 (정기후원)
불자여러분의 정기후원이 부처님법을 널리 홍포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유가종과 화엄종 어떻게 신라에 전래 되었는가? [자현스님의 붓다로드 115회_001]](https://ricktube.ru/thumbnail/ptJu-vjS_7s/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