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에서써본세번째약이야기
Автор: reader leading
Загружено: Прямой эфир состоялся 12 янв.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34 просмотра
● 약국에서 써 본 첫 번째 약 이야기 1~63
● 약국에서 써 본 두 번째 약 이야기 64~122
● 약국에서 써 본 세 번째 약 이야기 123~176
● 약국에서 써 본 네 번째 약 이야기 177~222
● 약국에서 써 본 다섯 번째 약 이야기 223~276
· 약국에서 써 본 첫 번째 약 이야기 01~63
01. 약물의 명칭
02. 카이랄(Chiral) 의약품
03. Sulfanilamide 화합물
04. Fluorine 의약품
05. Quinolone 항균제
06. β-lactam 항생제와 β-lactamase inhibitor
07. Macroride계 항생제
08. Super bacteria
09. 부신피질 호르몬
10. Proton pump Inhibtor
11. Helicobacter Pylori
12. Revaprazan(레바넥스)
13. Hyaluronic acid
14. 협심증을 치료하기 위한 nitrates
15. 산화질소(NO)
16. Trimetazidine(바스티난)
17. Thioglycolic acid
18. N-acetylcysteine
19. NSAI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20. Diacerhein(아트로다)
21. 진해제(鎭咳劑) 유감
22. PDE(phosphodiesterase) 저해제
23. Policresulen solution(알보칠)
24. Sulfonylurea계 당뇨 약물
25. Meglitinide계 항당뇨 약물
26. 라일락이 빚은 선물 metformin
27. Alpha glucosidase inhibitor
28. 베타 차단제
29. 새로운 베타 차단제
30. Calcium channel blocker
31. Renin Angiotensin Aldosterone System
32. 이뇨제의 혈압 강하작용
33.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제
34. 항진균제
35. 엽산(葉酸, folic acid)
36. S-Adenosyl-L-Methionine
37. Opioid agonist
38. 위장운동 촉진제 prokinetic agent
39. 항콜린제 약물(anticholinergic agents)
40. 항콜린제와 파킨스병
41. 파킨슨병과 dopamine 전구체
42. 파킨슨병과 dopamine 효능제
43. 파킨슨병과 MAO-B 억제제
44. 파킨슨병과 COMT 저해제
45. 50년대부터 80년대까지 정형적인 조현병 약물
46. 80년대 아후 비정형적인 조현병 약물
47.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48. Serotonin과 조루증 약물
49. Benzodiazepine
50. Zolpidem(스틸녹스)
51. baclofen(리오레살)
52. Pregabalin(리리카)를 아시나요
53. Buspirone(부스파)
54. Carnitine
55. 치매(痴.)와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56. 잠을 쫓는 약물 modafinil(프로비질)
57. 알콜 중독과 acamprosate
58. 목초액과 정로환
59. Saint John’s wort, 승마
60. Leukotriene 길항제
61. Vitamin A 유도체
62. 지방산
63. 수술전 복용을 중단하면 좋은 약물
· 약국에서 써 본 두 번째 약 이야기 64~122
64. Cytochrome P450
65. Cytochrome P450의 새로운 target
66. Cytochrom p450 관련 약물
67. 병용금기 정리
68. Orphan Drug
69. Prodrug
70. 유효기간 경과 의약품
71. 구강붕해정(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72. Sodium channel을 차단하는 약물
73. 부정맥 치료약물
74. Amiodarone(코다론)
75. QT 연장약물
76. Acyclovir
77. Influenza
78. 항원보강제 Adjuvant
79. Gardasil과 Cervarix 이야기
80. RotaTeq과 Rotarix
81. Clopidogrel(플라빅스)
82. PPAR agonist
235. ADC와 breast cancer drugs
236. PARP 억제제 olaparib(린파자)
237. 전립선암(prostate cancer) 약물
238. Virus 이야기
239. Hydroxychloroquine (HCQ)
240. Quinine tree(기나나무) 이야기
241. Povidone iodide
242. 비만세포(mast cell)와 omalizumab(졸레어)
243. 호산구(eosinophil)성 천식치료 약물
244. 호중구와 화학주성(化學走性)
245. Colchicine 이해하기
246.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NK세포
247. Toll like receptor(TLR)
248. MHC는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249. T세포와 B세포
250. Th 세포와 dupilumab(듀피젠트)
251. 골수(骨髓)
252. Brentuximab vedotin(애드세트리스 주)
253. polatuzumab vedotin(플라이비.주)
254. 백혈병(leukemia)의 종류 4가지
255. Acute promyelocytic leukemia의 치료 ATRA
256. Hypomethylation agents azacitidine, decitabine
257. FLT3 저해제 midostaurin과 gilteritinib
258. Philadelphia chromosome
259. CML의 표적항암제
260. ALL의 관해요법
261. ALL의 표적항암제
262. Rituximab(맙테라), obinutuzumab(가싸이바)
263. Bruton’s tyrosine kinase(BTK) inhibitor
264. Venetoclax(벤클렉스타)
265. T세포 증식억제 immunosuppressive drug
266. Mycophenolate mofetil(셀셉트)
267. Azathioprine(이뮤란)
268. 기타의 면역 억제제
269. 편두통(偏頭痛)
270. 저 Natrium 혈증
271.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질환(ADPKD) 다낭신(多囊腎)
272. COVID19와 serine protease inhibitor
273. RdRp 억제제 ribavirin과 remdesivir
274. Molnupiravir(라게브리오)
275. 팍스로비드(Paxlovid)
276. 안압(眼壓)을 상승시키는 약물들
접기
추천사
최광훈 (대한약사회 회장)
지역주민의 건강 사랑방인 약국을 중심으로 의약품을 설명하는 약사 전문 도서이기에 그 의미가 더 큽니다. 모든 분께 일독을 권합니다.
권영희 (서울시약사회 회장)
저자의 열정과 풍부한 경험을 내 것으로 만들고 싶어하는 분들에게 자신 있게 권합니다. 약에 대해 한층 가깝게 그리고 흥미롭게 느끼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출판사 서평
40여 년의 약국 경험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풀어낸 다섯 권의 약 이야기!
‘약국에서 써본 약 이야기’ 시리즈(전5권)는 40여 년간 개국 약사의 길을 걷고 있는 박정완 약사가 자신이 경험한 약국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의약품 정보와 학문으로서의 약학 간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약의 기원, 역사, 탄생배경에 대해 구연동화하듯이 쉽게 설명하는 약학서적이다.
2007년 첫 출간되어 2022년까지 15년 동안 다섯 권의 책으로 출간되었으며, 1~3권은 2019년에 개정되었다. 새내기 약사는 물론 끊임없이 새 약물을 배워야 할 기성 약사들 모두에게 ‘약물 교과서’로 불리며 오랜 시간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해오다 2023년 묶음 세트로 새롭게 발간되었으며 1권과 4권은 중쇄 작업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했다.
저자는 광범위한 영역의 약에 관해 다루고 있다. 약물에 대한 효능·효과, 부작용 정보, 흡수 대사 과정 등 전문적인 내용 뿐 아니라 약에 얽힌 재미있는 뒷이야기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문적인 내용이라 하더라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 설명해 놓았다. 제목 그대로 ‘이야기’하듯 재미있게 서술했기 때문에, 여타 다른 딱딱한 약학 서적과는 달리 소설처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으면서 학문적인 부분의 기억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돕는다.
약의 기원, 역사, 최신기전 등 276가지의 약 이야기
약국에서는 오만가지 문답이 오고 가기 때문에 약사는 지식소매상이 되어야 한다는 저자의 말처럼 ‘약 이야기’ 시리즈는 광범위한 영역의 약에 관해 다루고 있다. 항암제부터 비타민까지, 신경조직과 정신질환 약물부터 비만약까지 약국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약들을 다루며 더불어 한약재, 의학, 면역학 등 분야도 다양하게 넘나든다.
01번 약물의 명칭부터 276번 안압(眼壓)을 상승시키는 약물들까지 전5권에 걸쳐(첫 번째 약 이야기 1~63, 두 번째 약 이야기 64~122, 세 번째 약 이야기 123~176, 네 번째 약 이야기 177~222, 다섯 번째 약 이야기 223~276) 276가지의 소주제를 다룬다. 당뇨-위장-심장-신장-간-피부-폐 등 질환별 약물, 유명 제약품 개발에 얽힌 이야기, 드럭 머거 등의 영양소 이슈, 시사와 결합되어 주목받은 약, 약국에서 만난 다양한 케이스 등 이야기의 방향은 소주제 안에서도 다양하게 퍼진다.
또한 약학 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 동양의학, 의학, 면역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를 여행하면서 ‘약’을 대하는 약사의 시각과 자세를 보여준다. 저자는 “약의 주도적인 핸들링은 약사가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펙트럼이 넓고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하고, 그것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지식을 적절하게 표현할 줄 알면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도 리드할 수 있다”고 말한다. 약을 다루기 시작한 신입 약사부터 약에 대해 공부한지 오래된 약사까지 해당될, 위와 같은 메시지를 실천하기 위해 저자는 70이 넘은 나이에도 약국을 운영하며 틈틈이 글을 쓰고 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