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치료해도 낫지않는 엉덩이통증
Автор: PAIN LAB
Загружено: 3 окт.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5 456 просмотров
저작권자ⓒPAIN LAB 모든 콘텐츠, 이미지, 로고 및 문구의 저작권은 PAIN LAB에게 있습니다.
출처표기 하에 배포 및 전재 가능합니다.
(로고를 함께 삽입, 활용해야 가능)
이상근 증후군/심부둔근 증후군/골반기저근 증후군은 아래와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좌골신경을 자극하여 좌골신경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관련 증상이 없다면 이상근 근육 사용 자체는 정상입니다)
1️⃣ 국소 코어 근육 문제 (호흡 관련)
◦원인: 코어 근육의 약화, 특히 횡격막, 복횡근, 다열근, 골반기저근 등과 같은 호흡과 관련된 국소 코어 근육의 기능 부전은 골반과 척추의 안정성을 저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체중 이동 및 근육 사용 시 이상근에 과부하를 주고, 좌골신경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해결: 호흡 현상을 분석하고, 능력에 따라 정상 호흡패턴을 찾을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위 구성 요소)을 단계적으로 조성해줘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횡격막 우세패턴 호흡을 찾고 국소 코어근육의 협응을 만들어 나갑니다.
2️⃣ 고관절 불안정성
◦원인: 대둔근과 중둔근의 약화는 골반과 고관절의 안정성을 저하시켜 이상근이 보상적으로 과도하게 긴장될 수 있습니다. 이는 좌골신경을 압박하거나 자극할 위험을 높입니다. 또한, 골반 및 고관절 주변 부위의 근육과 인대가 충분히 지지를 제공하지 못하면, 이상근/심부둔근이 과긴장되며 좌골신경을 자극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해결: 고관절의 안정성과 정렬을 개선하기 위해 근육 간의 적절한 협응과 강화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부하 조절을 통해 적절한 훈련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기능이 떨어진 단관절 움직임 협응능력을 평가한 이후, 정상 수행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불편감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종합적 접근
심부둔근증후군/이상근증후군/골반저근증후군/좌골신경 자극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의 각 요소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호흡 패턴 개선과 결합하여 고관절 안정화까지 체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부하 조절을 통해 각 근육이 적절히 활성화되고 협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전문가의 지도하에 이러한 요소들을 개별적으로 평가하고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증상의 완화와 예방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논문1 : Deep Gluteal syndrome: An underestimated cause of posterior hip pain
논문2 : Deep gluteal syndrome: anatomy, imaging, and management of sciatic nerve entrapments in the subgluteal space
https://www.instagram.com/reel/DAM0Xa...
#이상근증후군
#좌골신경통
#심부둔근증후군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