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뉴스] KBS뉴스9 경남 - 장애인 대상 사기 범죄, 속수무책(2017.2.10.금)
Автор: KBS뉴스 경남
Загружено: 13 февр. 2017 г.
Просмотров: 563 просмотра
[앵커멘트]
어제 전해드린
청각언어 장애인 사기사건은
280명이라는 피해자를 낳으면서
무려 7년 동안 이어졌습니다.
취약계층인
장애인을 노린 사기 범죄만
해마다 천여 건에 이르지만,
마땅한 대책은 없는 상황입니다.
차주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투자사기 피해를 입은
청각언어장애인 백여 명이
시위에 나섰습니다.
김 모 씨는
아파트 담보 대출금 2억 원을 투자했다
잃어버리자 병까지 얻었습니다.
부부가 함께 일하지만,
이자 갚기가 힘들어
집을 잃어버릴 처지입니다.
[인터뷰]김00/투자 사기 피해 청각언어장애인
"(집을) 팔고 난 다음에 전세로 갈지 월세로 갈지 지금 알 수 없습니다. 마음이 찢어질 것 같은 심정입니다."
지난 2015년에는
한 지역 장애인협회가 회원을 이용한
장애인 특별 분양 아파트 매매로
차액을 챙겼습니다.
[인터뷰]김00/아파트 분양권 피해 장애인(지난 2015년)
"(당첨 아파트) 분양가 그런 것도 한마디도 안 했어요. 단지 전화 한 통 해서 돈 통장에 들어가 있을 거라고 (했어요.)"
이처럼 장애인을 노린
사기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장애인은 취업이나
경제적 자립이 힘들다 보니
수익을 보장해 준다는 말에
쉽게 흔들린다는 점을 노린 겁니다.
실제 국내 장애인은 249만 명이지만
고용률은 34.8%에 그치고
장애인 의무 고용률도 3%도 안 됩니다.
또 장애인들이
서로에게만 의지하는 것보다
사회와의 적극적인 소통이 있어야
사기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인터뷰]강오선/경남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 상담팀장
"(사기를 당하면) 그게 오류 된 거여도 오류라는 자각이 안 되잖아요. 비장애인들이 많은 사회로 나와서 부딪치고 겪어야 (범행 예방이) 학습되는…."
게다가 장애인들이
외부와의 접촉이 적어
범죄가 잘 알려지지 않는 점도
피해를 키우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차주하입니다.
#KBS뉴스9경남 #장애인범죄 #청각언어장애인 #사기사건
☞ KBS창원 뉴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changwon.kbs.co.kr/news
☞ KBS 창원 1TV 실시간(On-air) 방송 시청하기
http://k.kbs.co.kr/live/country/11_20
☞ KBS 창원 1TV VOD 조회하기 "유튜브-KBS창원"
/ kbscwstation
![[주요 뉴스] KBS뉴스9 경남 - 장애인 대상 사기 범죄, 속수무책(2017.2.10.금)](https://ricktube.ru/thumbnail/q-rM9VcaCVU/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