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세계 콩팥의 날'…만성 콩팥병 환자 급증 이유는? / YTN 사이언스
Автор: YTN 사이언스
Загружено: 9 мар. 2017 г.
Просмотров: 9 828 просмотров
오늘은 '세계 콩팥의 날'…만성 콩팥병 환자 급증 이유는?
■ 이창화 / 한양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앵커]
오늘은 콩팥질환과 만성 콩팥병의 합병증을 막기 위해 세계 신장학회와 국제 신장재단연맹이 지정한 '세계 콩팥의 날'입니다.
고령화 시대로 돌입하고, 식습관의 서구화가 진행되면서 만성 콩팥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는데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는 만성 콩팥병에 대해서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한양대병원 신장내과 이창화 교수 연결됐습니다. 안녕하세요.
세계 콩팥의 날이 지정될 정도로 콩팥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인데요.
먼저 콩팥은 어떤 기능하는 장기인가요?
[이창화 / 한양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일반적으로 알려진 콩팥의 기능은 소변을 통해서 노폐물을 배설하는 기능이죠.
우리 몸의 필터인 콩팥이 노폐물을 거르지 못하면 몸에 노폐물이 쌓이게 되면서 다양한 이상 증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기능 외에도 몸을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항상성 유지 기능, 우리 몸에 반드시 필요한 여러 호르몬 및 효소를 생산하고 분비하는 내분비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기능은 우리 몸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앵커]
최근 몇 년 사이에 만성 콩팥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급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창화 / 한양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국민건강보험공단 조사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만성 콩팥병으로 진료받은 사람이 9만 596명에서 15만 850명으로, 만 5년 사이 연평균 13.6%가 증가했는데요.
이렇게 환자가 증가한 이유는 아무래도 전체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고혈압, 당뇨 등의 콩팥병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급속도로 늘어난 것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만성 콩팥병의 주요 유발 질환인 당뇨나 고혈압의 유병률도 늘어나고 그 기간 길어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65세 이상 인구 층에서 만성 콩팥병 환자가 많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최근 신장 질환의 조기 발견을 중시하게 되면서, 검진을 통해 만성 콩팥병 환자들의 조기진단율이 높아진 것도 환자 증가의 한 가지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앵커]
특히 '만성'이라는 말이 붙으니까 더욱 주의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신장 질환이 그만큼 치료하기가 힘들고 위험하다는 뜻일까요?
[이...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