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AI는 일자리의 미래?…여성 공학도에겐 더 어려운 이유 / KBS 2025.03.10.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10 ма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985 просмотров
김지영 팀장은 25년 차 개발자입니다.
IT 대기업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김지영/IT 대기업 팀장 : "시스템을 만드는 일인데 사용자가 국내에도 있고 해외에도."]
두 딸을 둔 엄마기도 합니다.
대기업 여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10년 전 50%를 넘어 지금은 70%대.
하지만, 남의 일이었습니다.
IT 분야의 유독 빠른 기술 변화가 부담이었습니다.
[김지영/IT 대기업 팀장 : "다시 캐치업(따라잡기)하기에는 시간이 물론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서는 다소 힘든 점이."]
전체 여성 고용률은 30세부터 쭉 빠져서 45세쯤 다시 오르는 'M자 곡선'.
반면, 공학 계열만 추리면 'L자 곡선'이 그려집니다.
IT 업종 워킹맘에겐 휴직이 곧 퇴직이기 쉬운 겁니다.
경력 단절 공포는 후배 공학도들도 다르지 않습니다.
AI 분야 박사 과정인 이윤진 씨.
취업과 결혼을 동시에 앞두자 직장 선택이 더 고민입니다.
[이윤진/산업공학과 박사 과정 : "AI 연구 개발 쪽으로 좀 더 포커싱(초점)을 맞춰서 제가 생각을 하면 사실 거기는 힘들어요. 시간당 성과를 내야 되는 분야고…."]
이공계 학사 학위 이상 여성 중 임신, 출산 등으로 쉬고 있는 '경단녀’는 거의 19만 명.
반면, 전체 과학기술 인력은 2028년까지 최소 4만 7천여 명 부족할 거로 보입니다.
한쪽은 남고, 한쪽은 부족한 인력 '미스매치'입니다.
[정소현/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정책자문위원 : "정부에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최신 기술을 배우는 거를 이제 필수 코스로 정하면 (경단녀가) 바로 업무를 할 수 있겠구나…."]
'일자리의 미래'로도 불리는 IT 업종이 여성에게도 미래가 될지, 현장은 묻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인영입니다.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 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AI #일자리 #여성일자리
![[자막뉴스] AI는 일자리의 미래?…여성 공학도에겐 더 어려운 이유 / KBS 2025.03.10.](https://ricktube.ru/thumbnail/rEisUhnIIz0/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