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과학실] 홀로그램 / YTN 사이언스
Автор: YTN 사이언스 투데이
Загружено: 2 окт. 2019 г.
Просмотров: 36 009 просмотров
[앵커]
재미난 실험을 통해 일상 속 과학을 탐구해보는 (오늘의 과학실) 시간입니다.
공상과학 영화에서만 볼 수 있었던 홀로그램 기술이 이제 우리 생활과 더욱 가까워졌는데요.
어떤 기술인지,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나레이션]
커다란 테이블 위에 투영된 이미지들을 보면서 작전 회의를 하고,
멀리 떨어진 사람과도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대화를 나누기도 합니다.
허공에 상대방 모습이 아주 선명하게 입체적으로 투영되는 건데,
공상과학 영화에서 종종 나오는 이 기술이 바로 홀로그램입니다.
지금 보이는 것도 전부 마찬가지로 홀로그램이죠.
"밑에서 나오는 화면이 위에 있는 45도 각도로 되어있는 투명판에 비추면 저 앞쪽으로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겁니다."
홀로그램이란 완전함 혹은 전체라는 뜻의 '홀로'와 정보라는 뜻의 '그램'이 합쳐진 단어입니다.
원리는 두 개의 레이저광이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해서 입체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겁니다.
그렇다면 이런 원리를 이용해서 홀로그램을 집에서도 볼 수 있을까요?
"이거 하나만 있으면 집에서도 따라 할 수 있습니다."
우선 플라스틱을 피라미드 형태로 접습니다.
그리고 그 플라스틱의 각 면 아래에 휴대전화로 이미지를 재생하면! 홀로그램이 나타나죠.
이게 가능한 이유는 플라스틱은 약간 반투명합니다. 그래서 휴대전화에서 올라온 빛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플라스틱에 반사되면서 눈에 들어오는 겁니다.
그러면 우리 눈은 앞에서 보는 빛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홀로그램으로 보이는 것이죠.
이런 홀로그램 기술은 3D 입체 영상기술로 실감 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영화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요.
영화가 아니라 현실에서도 이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는 사례가 요즘 늘고 있다고 합니다.
가요계의 전설로 남은 가수 고 김광석 씨도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팬들과 만날 수 있었는데요.
홀로그램은 이렇게 문화, 예술, 그리고 지폐의 위변조 방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발전할 홀로그램 기술! 기대해 볼 만 하죠?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
![[오늘의 과학실] 홀로그램 / YTN 사이언스](https://ricktube.ru/thumbnail/smKU_b7HRLw/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