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통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알아야할 상식
Автор: PAIN LAB
Загружено: 9 янв.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2 775 просмотров
저작권자ⓒPAIN LAB 모든 콘텐츠, 이미지, 로고 및 문구의 저작권은 PAIN LAB에게 있습니다.
출처표기 하에 배포 및 전재 가능합니다.
(로고를 함께 삽입, 활용해야 가능)
오늘은 견갑골 불안정성과 잘못된 보상 패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견갑골 주변 통증이나 어깨 통증을 겪으면서도 자신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조차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견갑골 불안정성과 보상 패턴의 문제
견갑골은 한번쯤 들어보셨을 견갑상완리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견갑골은 단순히 어깨 관절을 움직이기 위한 뼈가 아니에요. 팔을 움직이고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견갑골의 역할이 정말 중요한데요. 하지만 이 견갑골이 제대로 안정되지 않으면, 여러분의 몸은 자연스럽게 다른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해서 보상하려고 합니다.
솔직히 견갑골의 움직임이 없다고 해서, 당장에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문제는 이런 보상 패턴이 반복되면서 어깨 관절이나 회전근개에 더 큰 부담을 주고 통증이 나오게 되면 가만히 있어도 어깨가 충돌되는 것 같고, 팔을 어떻게 둘 수가 없습니다.
제가 환자분들을 진료하면서 자주 발견하는 보상 패턴 중 두 가지를 말씀드릴게요:
1. 광배근 우세 패턴
o 견갑골을 안정시키기 위해 중하부 승모근이 제대로 작동해야 하는데, 많은 분들이 대신 광배근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견갑골을 척추방향으로 당기는 내전 역할을 하는 것은 중부 승모근이거든요. 근데 이 역할을 잘 못하게 되면 광배근이 억지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광배근은 하부 섬유가 견갑골 하각의 근막과 연결되어 있어 간접적으로 견갑골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거든요 이 연결 덕분에 광배근은 견갑골을 척추 방향으로 당기는 내전 기능을 일부 보조할 수 있습니다. 중부 승모근과 능형근이 약화되거나 비활성화된 경우, 광배근이 보상 작용을 통해 견갑골의 내전 기능을 수행하려고 합니다.
이 보상은 일시적으로 견갑골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효율적인 움직임 패턴을 형성하고 통증이나 근육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광배근은 어깨를 뒤로 당기거나 팔을 내리는 데 중요한 근육이지만, 이 근육을 과하게 사용하면 견갑골이 적절히 움직이지 못하고, 어깨 관절과 회전근개에 과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삼각근 우세 패턴
o 전거근은 견갑골을 앞으로 당기고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 역할을 삼각근이 대신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o
전거근이 약화되거나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팔을 앞으로 밀거나 들어 올릴 때 견갑골의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이때 삼각근(특히 전면 삼각근)이 견갑골을 움직이는 데 간접적으로 관여하며, 전거근의 역할을 일부 대체하려고 합니다. 전면 삼각근이 팔을 전방으로 들어 올리는 동안, 견갑골은 팔의 움직임에 따라 전방으로 당겨집니다. 이 과정에서 삼각근이 팔을 당기는 힘이 견갑골을 간접적으로 움직이게 만듭니다..
하지만 삼각근이 전거근의 역할을 보상하려고 하면, 견갑골이 가슴 벽에서 들리거나 움직임이 비효율적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견갑골의 불안정성이 심화되며, 어깨 관절과 회전근개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는 거죠.
결국, 이렇게 광배근과 삼각근이 우세한 패턴이 반복되면 견갑골 불안정성이 더 심화되고, 어깨 주변에 통증이 생기거나 회전근개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름의 효율성을 택한 방식인데 정작 어깨관절에는 부담이 되고, 실제로 이 잘못된 움직임 패턴을 수정하는데는 정확한 지도가 필요합니다. 움직임 범위를 조절하고, 잘못된 보상이 나오기 전 단계까지만 훈련하는 거죠. 이렇게 하다보면 점점 좋아집니다.
평생 써오던 잘못된 패턴을 하루아침에 고칠수는 없지만 꾸준히 하다보면 좋아집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통증 #견갑골 #광배근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