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소비 비중 확대되면... 물가에 긍정, 고용에 부정?
Автор: OBS뉴스
Загружено: 29 окт.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86 просмотров
【앵커】
온라인 소비 비중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물가에는 긍정적이었지만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유성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7년 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은 전체 소매판매액의 14% 수준.
하지만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2020년 온라인 소비 비중이 크게 확대됐습니다.
이후 온라인 소비 증가세가 이어지며 올해 2분기에는 27%로 급증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 KDI가 2017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으로 분석했습니다.
--CG IN--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상승하면 당해 연도의 물가 상승률은 0.07%p정도 하락했습니다.
--CG OUT--
유통 단계가 축소되고 매장 유지 비용과 인건비가 절감되면서 오프라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김지연 /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 인터넷의 특성상 가격 비교가 용이하기 때문에 공급자 간의 경쟁을 강화시킴으로써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도 있습니다.]
--CG IN--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확대되면 평균 취업자 수는 전년 보다 3만 4천 명 감소했습니다.
--CG OUT--
오프라인에서의 구매 활동과 외식 소비의 감소로 이어져 관련 종사자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소비 형태가 온라인으로 전환됨에 따라 오프라인 구매활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의 고용이 감소했습니다.]
KDI는 이번 분석에서 재교육 강화 등을 통해 업종의 원활한 전환을 돕고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확대지원을 주문했습니다.
또, 온라인 소비 확대의 물가 안정 효과가 관련 산업의 독과점화 되지 않도록 시장 여건을 형성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OBS 뉴스 유성훈입니다.
#온라인 #음식점 #소비 #고용 #물가
▶ O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obs3660
▶ OBS 뉴스 기사 더보기
PC : http://www.obsnews.co.kr
모바일 : http://m.obs.co.kr
▶ OBS 뉴스 제보하기
이메일 : [email protected]
전화 : 032-670-5555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