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계서원
Автор: 한국국학진흥원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Загружено: 27 фев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76 просмотров
👉묵계서원黙溪書院
📍경북 안동시 길안면 국만리길 70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묵계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14 31~1517) 과 응계 凝溪 옥고玉沽(1382~1436)를 모신 서원입니다.
묵계서원이 있는 지역은 본래 거묵역居墨驛이었는데, 김계행이 만년에 보백당寶白堂을 지어 자신의 당호堂號로 삼으면서 묵촌黙村으로 고쳐 불렀으며, 송암폭포松巖瀑布 위에 만휴정晩休亭을 건립하면서 정자 앞으로 흐르는 냇물을 묵계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1687년(숙종 13) 사림들이 만송晩松과 호담壺潭에 서당을 세워 강학하면서 옥고와 김계행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1701년(숙종 27) 이현일李玄逸(1627~1704)과 이재李栽(1657~1730)가 호담 주위를 둘러본 이후 묵계에 대한 사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묘우 건립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호담에 있는 서당의 이름을 묵계黙溪로 하였습니다. 1705년(숙종 31) 묘우를 완성하고 이듬해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사당의 이름을 청덕사 淸德祠로 정하고 묵계서당은 묵계서원으로 격을 높였습니다.
1869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25년 강당을 비롯한 일부 건물을 중건했으며, 1998년 현재 위치에 복원하였습니다. 서원의 동편에는 김계행의 신도비와 비각이 있습니다.
(참고: 『안동의 서원』, 한국국학진흥원, 2024, 39쪽.)
-한국국학진흥원 홈페이지 - 발간도서 - 도록 에서 내려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oreastudy.or.kr/
✨'한국의 서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으며, 그중에서 안동시는 도산서원과 병산서원을 보유한 도시입니다. 『안동의 서원』은 안동시의 지원을 받아 안동 소재 서원의 공간이 가지는 의미를 다양한 도판과 함께 두 편의 논고로 제시하였습니다.
✨'안동의 서원' 영상 시리즈는 한국국학진흥원과 안동시가 제작지원하고, 안동MBC가 제작하였습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