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토론+]저출생과 노동시간의 상관관계?
Автор: 캔디 KANDY_KBS제주
Загружено: 31 окт.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246 просмотров
[집중토론 제주]저출생 지역소멸 시대④'일·가정 양립' 대책은?(2024.10.30) 중에서
https://youtube.com/live/vmDfx2W7M6A?...
김익태/KBS 기자:
지난해 한국의 1인당 연간 노동시간은 사상 처음으로 1800시간대로 줄긴 했지만 OECD 평균과 비교하면 여전히 122시간 많습니다.
하루 8시간 근무로 환산하면 한국 노동자들이 보름 더 일하는 셈이죠.
이런 상황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게 가능할까 싶은데요.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노동시간 단축이 얼마나 중요한 과제인지에 대한 의견부터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김경희/민주노총 제주본부 사무처장:
사람의 시간은 24시간으로 모두 동일한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하루에 대부분을 사업장에서 보내는 노동자의 경우에는 노동시간이 길고 짧음은 삶의 질과도 직결되어 있는 문제이기도 하고요.
우리가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생산력이 증대했다고 하지만 실제 노동시간이 단축되는 것은 더딘 상황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출생률 등의 사회적인 현상에 대한 문제 해결을 찾을 때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접근이 매우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고요.
그래서 지금 현재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서 삶의 질의 개선이 필요하고 그거는 지금의 기술 변화로 충분한 상황은 아닌가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김지숙/제주YWCA 사무총장:
저도 같은 생각인데요. 사실상 어쨌든 그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관점에서 봤을 때 직장과 가정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동시에 책임을 지고 있는 부모에게 있어서 단축 노동시간 단축은 되게 필요한 제도 중에 하나라고 생각이 들어지고요.
사실 우리가 근로시간 단축을 하는 이유가 그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필요한 시간들이 확보가 돼야 된다는 그런데 사실 그 시기에 자녀의 돌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녀의 성장하는 과정에서도 분명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들어집니다.
그래서 그런 성장하는 과정에 큰 영향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자녀들을 양육하는 시기에 있는 맞벌이 부모에게는 분명히 근로시간 단축은 필요할 것이고요.
만약에 그런 근로시간 단축이 확보가 되지 않으면 그 부모 입장에서는 반드시 일의 효율성은 떨어진다라고 생각이 들어집니다.
그래서 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그 자녀와의 관계 그런 가족과의 관계의 충분한 형성을 위해서는 근로시간 단축은 꼭 필요하다라고 생각합니다.
#집중토론제주 #일가정양립 #노동시간단축
KBS뉴스제주 구독하기 → / @_kandy
KBS제주 공식 홈페이지 → http://jeju.kbs.co.kr/
페이스북 / kbsjejunews↑↓
인스타그램 / kbs_news_jeju
☞ 제보하기☜
카카오톡플러스친구 'KBS제주뉴스' 친구추가 후 제보
이메일 [email protected]
페이스북 / kbsjejunews
인스타그램 / kbs_news_jeju
전화 064-740-7400
![[집중토론+]저출생과 노동시간의 상관관계?](https://ricktube.ru/thumbnail/xHP2MtFYqbs/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