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참여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체제 구축|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교육부 브리핑 (21.11.24.)
Автор: KTV 국민방송
Загружено: Прямой эфир состоялся 24 нояб.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3 488 просмотров
✔내년 하반기까지 총론·각론 모두 확정 고시
▪️학습자 삶과 연계한 역량 함양
▪️진로·적성 따라 의미있는 학습경험 가능
✔'국민과 함께하는 교육과정'
▪️'국가교육과정 개정추진위'···정책자문위 운영
▪️국민 참여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체제 구축
✔주요 개정방향·추진 과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함양 가능한 교육과정
▪️학습자의 삶·성장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과정
▪️지역·학교의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
▪️디지털·AI 교육환경에 맞는 교실수업·평가체제 구축
▪️언어, 수리, 디지털소양을 모든 교육과정 통해 강조
▪️신기술 분야 내실화···정보 교과교육 확대
▪️생태전환교육, 민주시민교육 강화
✔지역·학교 간 교육 격차 완화
▪️특수교육 교육과정서 '일상생활 활동' 신설
▪️학교 현장 자율적 혁신 지원
▪️초·중학교에 학교 자율시간 도입
✔진로연계학기 도입해 학교 생활 적응·진로 설계 도와
▪️상급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서 교육과정 이해 도울 것
▪️학생 진로탐색 위한 지원 강화
✔창의적 체험활동 자율자치활동 강화
▪️범교과 학습 주제, 교과와 연계해 개선·법령 정비
▪️초등학교 교육과정, 입학초기 적응활동 개선·한글 익힘 학습 강조
▪️초등학생 실외 놀이·신체활동 교육내용 강화
▪️중학교 자유학기·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운영방안 개선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사항 핵심은 '고교학점제'
▪️학생 개별 성장 지원하는 교과 체제로 개편
▪️실생활 연계·응용 위한 융합 선택과목 신설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산업기술 분야 변화 맞춰서 전문교과 재구조화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교과 간 연계·통합, 삶과 연계한 학습, 성찰에 중심
▪️교과 학습 경험이 역량 함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
✔국가교육과정 각론조정위 운영해 총론 주요사항과 연계 강화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에 '현장 교원' 참여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평가 혁신
▪️온·오프라인 간 유연한 연계, 다양한 평가 강화
▪️내년 하반기에 새 교육과정을 최종 확정·고시
▪️교원 정책·대입제도 종합적으로 개선
▪️학교 공간 재구조화·교과용 도서 개발 등 후속 지원
🔎발표 전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은혜입니다.
오늘 교육부는 대한민국의 초·중등교육을 미래 교육으로 이끌도록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계획된 2022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사항을 발표하고자 합니다.
오늘 발표하는 방안은 2022 개정교육과정 중의 핵심적인 방향과 요소만 먼저 말씀드리는 것으로, 최종 확정본은 총론과 각론 모두 내년 하반기까지 확정 고시하도록 차질 없이 업무를 추진하겠다는 말씀부터 드리겠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개정교육과정은 길어지는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교육이 위축되지 않고 우리 교육의 10년, 20년 후를 내다보며 나아가도록 우리 교육을 미래로 이끄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기후·생태·환경의 위기를 비롯하여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과 인구 급감 등의 미래 사회의 불확실하고 복잡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2022 교육과정 개정안은 우리 학생 한명 한명을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세웠습니다.
또한, 학습자 삶과 연계한 역량 함양으로 교육의 패러다임을 가꾸고 단편적 지식의 습득보다 학습한 내용을 삶의 맥락에서 적용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여 진로와 적성에 따라 의미있는 학습경험이 가능하도록 우리 교육의 틀을 가꿔 나가고자 합니다.
이번 개정은 '국민과 함께 하는 교육과정이'라는 슬로건 아래 이전의 전문가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넘어서고자 최선을 다했습니다.
학생과 학부모, 현장교원 등 교육주체의 참여를 대폭 확대했고,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가교육과정개정추진위원회와 사회 각계의 요구를 경청하기 위해 정책자문위원회를 운영하였습니다.
특히, 국가교육회의 전국 시도교육감 협의회에서 함께 힘을 모아주신 덕분에 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체제를 구축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주요 개정방향과 추진과제를 말씀드리겠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방향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가 됩니다.
첫째,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함양이 가능한 교육과정으로 개발하겠습니다.
둘째, 학습자의 삶과 성장을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개발하겠습니다.
셋째, 지역과 학교의 교육과정 자율성을 확대하고 책임 교육을 구현하겠습니다.
넷째, 디지털, AI 교육환경에 맞는 교실수업과 평가체제를 구축하겠습니다.
2022 개정교육과정 추진과제로서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혁신을 위해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소양으로 자기주도성, 창의와 혁신, 포용과 시민성을 설정하고, 교육적 인간상과 핵심역량, 교육목표를 개선하고자 합니다.
또한, 언어와 수리, 디지털 소양을 2030 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초 소양으로 삼고 모든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강조하고자 합니다.
디지털 기초소양의 함양과 함께 AI 등 신기술 분야의 기초·심화학습을 내실화할 수 있는 정보 교과교육을 확대하겠습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생태전환 교육과 시민성을 키우는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하여 공동체와 함께 살아가는 가치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이 차별받지 않도록 지원하고 지역과 학교 간의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등 모두를 위한 교육을 강화하겠습니다.
특히,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는 장애의 특성과 정도를 고려해서 일상생활 활동을 새롭게 신설하고, 일반 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을 강화하겠습니다.
다음으로, 학교현장의 자율적인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초·중학교의 학교 자율시간을 도입하고, 시도별 지역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여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유권을 더욱 확대하겠습니다.
또한, 학교 급이 바뀌는 시기에 학교생활 적응과 진로 설계를 위한 진로연계 학기를 도입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에서 자유학기, 고교학점제와 같이 새롭게 경험하게 될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과학습방법, 정서적 지원, 진로설계 등을 연계한 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학생을 진로탐색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습니다.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자치활동을 강화해서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와 실천을 강조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범교과 학습주제는 그간 제기되어온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관련 주제를 교과와 연계해서 개선하고, 중 ·장기적으로는 의무적인 부가***를 조정하는 등 법령 장비를 추진하겠습니다.
우리 학생과 선생님, 학부모님들 여러분,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사항 중에 학교 급의 특성에 따라서 변경되는 부분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1학년 학생들의 입학 초기 적응활동을 개선하고 한글익힘 학습을 강조하여 기초 ·기본교육의 토대를 튼튼히 하겠습니다.
또한,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맞도록 실외놀이와 신체활동 교육 내용을 강화하겠습니다.
중학교의 자유학기와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의 운영방안을 개선하여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자 합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사항의 핵심은 고교학점제입니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고등학교의 수업과 학사운영이 학점기준으로 전환됨에 따라 총이수학점과 수업량을 적정화하고, 다양한 진료 연계활동과 학생의 개별 성장을 지원하는 교과체제로 개편하고자 합니다.
무엇보다 학생이 다양한 탐구와 융합 중심의 선택과목을 실질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일반 선택과목을 적정화하고, 실생활 연계 및 응용을 위한 융합 선택과목을 신설하겠습니다.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새로운 산업기술 분야의 변화에 발맞추어 전문교과를 재구조화하고, 학생의 희망에 따라 세부 전공, 부전공, 다른 전공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자율이수학점을 확대하겠습니다.
이어서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새로운 교과 교육과정은 학생의 깊이 있는 학습을 지향하고, 교과 간의 연계와 통합, 삶과 연계한 학습, 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성찰을 중심에 두고 개발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질 높은 교과학습 경험이 자연스럽게 역량 함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국가교육과정각론조정위원회를 운영하여 총론 주요 사항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교과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논의들을 조정하겠습니다.
이번 개정에서는 국가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에 현장 교원이 50% 이상 연구진으로 참여함으로써 새 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을 더욱 높이겠습니다.
다음으로 디지털 기반의 교수 학습과 평가를 혁신하겠습니다.
원격수업 등의 다양한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방식의 현장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간의 유연한 연계와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습자 개별 맞춤형 수업과 다양한 평가를 강화합니다.
마지막으로, 향후 계획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말씀드린 총론의 주요 사항을 토대로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시안 개발을 추진하고, 내년 하반기에 새 교육과정을 최종적으로 확정 ·고시할 예정입니다.
개정 교육과정은 2024년 초등학교 1 ·2학년에, 2025년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새 교육과정의 안착을 위한 교원정책 및 대입제도를 종합적으로 개선하고, 미래형 학습환경을 위한 학교 공간의 재구조화와 교과형 도서 개발 등 후속지원 또한 차질 없이 이어 나가겠습니다.
-
📌 글자 수 제한으로 이하 전문을 붙이지 못하는 점 양해 바랍니다.
#교육과정 #주요사항 #교육부
🔹일시: 2021. 11. 24. (수) 10:00
🔹장소: 세종시 해밀초등학교
🔹발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