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석등산/ Travel tv/ Mountain - 상산 천등산 개목사 봉정사
Автор: 산석등산 / #Travel tv / #Mountain -
Загружено: Дата премьеры: 20 нояб.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133 просмотра
1차 https://www.tranggle.com/profile/trac...
2차 https://old.tranggle.com/profile/trac...
산행 일지
2022년1월 15일 제850차 1,677회 산, 1차 '상산'(520m) '천등산'(576m) 상산 들머리 2코스 서후태장배수지, '천등산' 날머리 '개목사' 경유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봉정사' 8.7km 3시간 59분 답사한 산 이다. 2차로 2022년 11월 19일 제946차 1,858회 산, 경북 안동시 서후면 소재 '상산'(520m) '천등산'(576m)과 '개목사' '봉정사'를 재차 답사하고, 안동역 새마을호 오후 3시 6분 출발, 오후 4시 34분 원주역 도착, 원주버스터미날 오후 5시 여주행 직행버스로 귀환할 예정이다.
안동 날씨는 맑음 이다. 지난 16일 전북 부안군 보안면에 소재한 '천마산'(135m)과 '곰소항젓갈시장'을 답사 하였던 바, 오늘은 충주역행 ktx 이음 열차를 감곡 장호원역에서 오전 8시 8분 출발, 충주역 경유 제천역 ktx 이음 열차 오전 9시 14분 출발 안동역 10시 14분에 도착한다.
이어서 안동역 10시 14분, 안동시 교통정보 검색결과 310번 버스는 교보생명 안동초교 10시 30분 출발 안동시외버스터미날 입구 앞 버스 정류장 10시 50분 도착이다. 개인택시를 이용 10시 35분, 들머리 '봉정사' 입구 1번 코스, 어플 표시를 따라, '상산' 갈림길 안부에 오르니 1.5km 진행, 오전 10시 52분이다.
안부에서 이어지는 상산 구간 거리는 1.2km, 왕복 후 '천등산' 1.7km 구간을 오를 예정이다. 안부에 늘어선 소나무 능선 숲 길을 이어서 나아 간다. 이내 오전 11시 42분, 어플 배지 획득 알림, 2차 '상산' 답사를 마주한다. '상산' 고스락은 무명 묘와 빛바랜 시그널이 산객을 반기고, 트임은 없다. 해발 520m, 국토정보원 산높이 및 위치 자료에는 3861번 표고점 안동 046 이다.
'상산'을 뒤로하고 어플 표시에는 없는 '큰상산'(540m) 쉼터에 들어선다. 이내 갈림 이정목을 지나, '관음굴'이 운치가 있는 직벽 바위 아래, 오후 12시 10분, '관음굴' 속 관음상이 미소로 홀로인 산객을 반긴다.
'관음상'을 뒤로하고 호젓한 송림길 안부를 이어서 나아 가자, 오후 12시 56분, 어플이 2차 '천등산' 배지 획득을 알려오고, 해발 567m 고스락, 정상석과 '삼각점'이 산객을 반긴다. 산 아래 북 동측 전경이 나무 가지 사이로 펼쳐 보이는 '천등산'은 완주 천등산, 충주 천등산, 고흥 천등산, 부여 천등산까지 다섯 개 이다. 이곳 안동 '천등산'은국토정보원 산높이 및 위치 자료에는 3858번 '삼각점' 안동 037이다.
'천등산' 답사 후 날머리 천년고찰 '개목사'까지 0.6km, '봉정사'까지는 '개목사'에서 1.3km,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의 높은 스님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천등산' 깊은 골에 암자를 짓고 수행하던 세계유산에 등재된 신라 천년 고찰 이고, 지금은 고인이 된 영국여왕 엘리바베스2세가 1999년 4월 21일 방문 했다. 또한 '봉정사' '극락전'은 현존하는 목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며, 국보 제311호 지정 보존 되고 있다. 그리고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는 한반도 남쪽 지방에 위치한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등 7개 '산지승원'을 일컫는다.
오후 2시 산행을 끝내고, '봉정사' 출발 개인택시, 안동역 새마을호 오후 3시 6분 출발, 원주역 오후 4시 34분 도착 원주시외버스터미날 오후 5시 여주행 직행버스로 경북 안동시 서후면에 소재한 '상산'(520m) '천등산'(576m) '개목사' '봉정사' 2차 산행을 마무리 한다.
국토정보플랫폼 한국지명 유래집 자료
[천등산(天燈山) 봉정사(鳳停寺)]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있던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안을 환하게 밝혀주었으므로 '천등산 '이라 이름하고 그 굴을 '천등굴'이라 하였다. 그 뒤 더욱 수행을하던 능인스님이 도력으로 종이 봉황을 접어서 날리니 이곳에 와서 머물러 산문을 개산하고 , 봉황이 머물렀다 하여 봉황새 봉(鳳)자에 머무를 정(停)자를 따서 봉정사라 명명하였다. 또한 그 봉황이 학이되어 산으로 날아갔는데 그 산이 지금의 학가산이라 한다. 그 뒤 6차례에 걸쳐 중수하였으며, 국보 제15 호인 극락전, 보물 제55인 대웅전,보물제 448호인 화엄강당, 보물 제449호인 고금당, 덕휘루,무량해회, 삼성각, 및 삼층석탑과 부속암자로 영산암과 지조암이 있다.특히, 고려태조와 공민왕, 최근 영국의 여왕이 다녀가기도한 아름다운 사찰이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